[자격증] 기상감정기사 필기 : 3과목 일기해석 (기본 일기도)

 정보

  • 업무명     : 3과목 일기해석 (기본 일기도)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19-09-22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핵심이론 01] 기본일기도의 분석

  • 지상 24시간예상도
    • 현재의 지상 일기도를 근거로 하여 예보관이 주관적인 방법으로 작성한 24시간 후의 지상예상일기도
  • 지상 03, 12
    • 03 및 12 시간 간격으로 관측 자료를 근거로 만들어진 일기도
    • 기압패턴을 이용해 날씨 분포를 이해할 수 있음
  • 925 hPa 일기도
    • 대류권의 최하층인 평균 810 gpm 높이의 기상상황을 나타내는 상층일기도
    • 특성
      • 810 gpm 기준 3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3 ℃ 간격 등온선 (적색 파선)
      • 습윤구역 (노점편차 < 2 ℃ : 녹색칠)
  • 850 hPa 일기도
    • 대류권의 하층인 평균 1500 gpm 높이의 기상상황을 나타내는 상층일기도
    • 특성
      • 1500 gpm 기준 3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3 ℃ 간격 등온선 (적색파선)
      • 습윤구역 (노점편차 < 3 ℃ : 녹색칠)
  • 700 hPa 일기도
    • 대류권의 중하층인 지상 평균 3000 gpm 높이의 상층 일기도
    • 특성
      • 3000 gpm 기준 6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0 ℃ 기준 5 ℃ 간격 등온선 (적색 파선)
      • 습윤구역 (노점편차 < 4 ℃ : 녹색칠)
    •  
  • 500 hPa 일기도
    • 대류권의 중층인 지상 평균 5580 gpm 높이의 상층 일기도
    • 특성
      • 5580 gpm 기준 6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0 ℃ 기준 5 ℃ 간격 등온선 (적색 파선)
  • 300 hPa 일기도
    • 대류권의 상층인 지상 평균 9180 gpm 높이의 상층 일기도
    • 특성
      • 9180 gpm 기준 12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0 ℃ 기준 5 ℃ 간격 등온선 (적색파선)
      • 75 kts 이상의 강풍구역 (녹색칠)
      • 75kts 기준 25kts 간격의 등풍속선 (검은색 실선)
  • 200 hPa 일기도
    • 대류권의 중층인 지상 평균 11760 gpm 높이의 상층 일기도
    • 특 성
      • 11760 gpm 기준 12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0 ℃ 기준 5 ℃ 간격 등온선 (적색 파선)
      • 75 kts 기준 25 kts 간격의 등풍속선 (녹색 실선)
      • 75 kts 이상의 강풍구역 (녹색점 집합)
      • 제트기류축 : 적색 띠 화살표
  • 100 hPa 일기도
    • 대기의 상층에 해당하는 지상 평균 16200 gpm 높이의 상층일기도
      • 특성
        • 16200 gpm 기준 120 gpm 간격 등고선 (청색 실선)
        • 0 ℃ 기준 5 ℃ 간격 등온선 (적색 파선)
        • 75 kts 기준 25 kts 간격의 등풍속선 (녹색 실선)
        • 75 kts 이상의 강풍구역 (녹색점 집합)
        • 제트기류축 : 적색 띠 화살표

 

[핵심이론 02] 대기선도에 대한 용어 설명

  • 등압선 (Isobar)
    • 수평방향으로 그려진 직선들로서 보통 1050 hPa부터 100 hPa까지, 400 hPa를 100 hPa로 시작하여 25 hPa까지 겹쳐서 표시되며, Logarithm Scale로서 상층으로 갈수록 넓어짐
  • 등온선 (Isotherm)
    • 좌측 하단 부분에서 오른쪽 윗부분으로 약 45° 기울어져 그려진 직선들로서 간격이 일정 (섭씨온도)
  • 건조단열선 (Dry Adiabat)
    • 좌측 상단 부분에서 오른쪽 아랫부분으로 기울어져 그려져 있으며 상단에 약간 오목한 곡선 (섭씨온도)
  • 포화단열선 (Saturation Adiabat)
    • 좌측 상단 부분에서 우측 하단 부분으로 기울진 아래로 약간 오목한 곡선 (섭씨온도)
  • 포화혼합비선 (Saturation Mixing Ratio Line)
    •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로 거의 직선으로 그어진 선들로 등온선보다 경사가 급하게 보임

 

 

 

[핵심이론 03] 대기선도 작성과 분석

  • 고층기상관측지점의 상공의 지상으로부터 고공 100 hPa 고도(약 16 km)까지의 수직 기상상황 분포를 기초로 하여 해당 대기의 각종 기상상황을 분석함
  • 대기선도 작성
    • 상승응결고도 (LCL; Lifting Condensation Level)
      • 지상의 공기덩이를 건조단열과정에 의해 강제상승 시켰을 때 포화에 이르는 고도
      • 작성 방법 : 지상의 이슬점온도를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온도를 지나는 건조단열선이 만나는 점의 고도
    • 대류응결고도 (CCL; Convection Condensation Level)
      • 지상의 공기덩이가 복사가열로 에너지를 받아 단열적으로 상승하여 포화에 이르는 고도
      • 작성 방법 : 지상의 이슬점온도를 지나는 포화혼합비선과 온도상태곡선이 만나는 점의 고도
    • 자유대류고도 (LFC; Level of Free Convection)
      • 상승응결고도에서 습윤단열과정에 의해 계속 상승하여 처음으로 온도상태 곡선과 만나는 고도
      • 작성 방법 : 상승응결고도에서 습윤단열선을 따라 올라가서 처음으로 온도상태곡선과 만나는 점의 고도
    • 평형고도 (EL; Equilibrium Level)
      • 상승응결고도나 자유대류고도에서 부력을 얻어 상승하는 공기덩이가 온도상태곡선과 같아지면서 부력을 잃기 시작하는 고도
      • 작성 방법 : 대류응결고도나 자유대류고도에서 습윤 단열선을 따라 계속 상승하여 처음으로 온도상태곡선과 만나는 점의 고도

 

 참고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블로그에 대한 궁금하신 점을 문의하시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E. sangho.lee.1990@gmail.com & saimang080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