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업무명 : 북극해 얼음의 장기 변동 현황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21-01-25 설 명 : 수정이력 : 내용 2020 년 한해동안 북극해를 포함한 주변 해역은 몇 가지 중요한 기후 현상을 겪었다. 우선 봄철에 시베리아를 덮친 지속적인 폭염은 동시베리아와 랍테프해 에서 해빙의 급속한 후퇴를 야기하였으며, 결과적으로 2020년 9월 북극해 얼음의 면적은 기후 관측 기록 역사상 두 번째로 작은 면적을 기록하게 되었다. 또한 가을에는 얼음의 동결이 평년보다 느리게 시작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2020년 한 해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은 자명하다. 지난 40 년 간의 위성 관측 데이터에 따르면 2020 년은 과거부터 이어져 온 지속적인 해빙 면적 감소 현상의 연장선상일 뿐이라는 것이 명백하다...
정보 업무명 : 2020년 09월 전국 평균 기온 및 강수량 현황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20-10-22 설 명 : 수정이력 : 내용 9월 전국평균기온 및 강수량 변화 (1973년 ~ 2020년) [평균기온 변화] 기상청에서 전국 1973년부터 2020 년까지 연속해서 관측자료가 있는 60개 지점의 기상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9월 평균기온은 20.3℃ 로 평년(20.5℃)보다 0.2℃ 낮아 9월 평균기온 역대순위 30위를 기록하였다. 9월 기온의 장기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평균기온 상승률은 0.25℃/10yr로 나타났다. (10년에 약 0.25도 상승) 전국 모든 지역에서 기온이 상승한 가운데 전국 60개 관측지점 중 9월 기온상승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청주(0.6℃/10yr)로 나..
정보 업무명 : 기상이슈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20-10-21 설 명 : 수정이력 : 내용 [미류운(Virga)] 미류운 (Virg) 은 결코 땅에 떨어지지 않는 유령 같은 비이다. 구름 아래의 공기가 매우 건조하다면, 이 구름을 통해 떨어지는 비는 지구의 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증발하게 된다. 이 때 구름의 아랫 부분에서 깃털같은 줄무늬의 흔적이 나타나게 되는데, 낙하하던 강수가 도로 수증기로 증발하기 되기 전에 지나간 궤적이다. 빗방울이 도로 증발할 때 주변 공기로부터 많은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이로인해 주변공기는 빠르게 냉각하게 된다. 이렇게 냉각된 차가워진 공기는 순간적으로 매우 강한 하강기류가 발생하게 되어 위험할 정도로 응축된 빗방울 또는 우박이 내리게 될 수 있다. 그러..
정보 업무명 : 대서양의 허리케인 시즌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20-09-18 설 명 : 수정이력 : 요약 [요약] 2020 년 대서양은 허리케인 시즌이 한창이며, 지금까지 이미 많은 기록을 경신하였다. 그러나 허리케인 시즌은 앞으로 2달동안 더 이어질 것이다. [관측위치] [관측장비] SuomiNPP - VIIRS Terra - MODIS 내용 2020년 대서양 허리케인 시즌은 지금까지 많은 기록을 갈아 치웠으며, 시즌은 아직 절반밖에 지나지 않았다. 인공위성에 의한 기상관측의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허리케인이 발생한 것이다. 9월 14일을 기준으로, 국립 허리케인 센터는 3개월 남짓 되는 기간 동안 20개 허리케인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이는 6개월 동안 12개의 허리케인이 발생하는..
정보 업무명 : 2020년 08월 전국 평균기온 및 강수량 현황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20-09-18 설 명 : 수정이력 : 요약 [요약] 2020년 08월 기온 및 강수량 현황 내용 [8월 전국평균기온 및 강수량 변화 (1973년 ~ 2020년)] [평균기온 변화] 기상청에서 전국 1973년부터 2020 년까지 연속해서 관측자료가 있는 60개 지점의 기상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8월 평균기온은 26.6℃ 로 평년(25.2℃)보다 1.4℃ 높아 8월 평균기온 역대순위 6위를 기록하였다. 8월기온의 장기변화 경향을 분석한 결과 평균기온 상승률은 0.24℃/10yr로 나타났다. (10년에 약 0.24도 상승) 전국 모든 지역에서 기온이 상승한 가운데 전국 60개 관측지점 중 8월 기온상승..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