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서] 국내 학술지 :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복사관측소 환경 개선 및 국제화 추진 전략

 정보

  • 업무명     : 국내 학술지 :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복사관측소 환경 개선 및 국제화 추진 전략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20-04-01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개요]

  • 안녕하세요? 기상 연구 및 웹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해솔입니다.

  • 오늘은 학술 논문 내용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특징]

  • 학술 논문 소개

 

[기능]

  • 세부 내용 참조

 

[사용 OS]

  • Windows v10

 

[사용 언어]

  • 한글 v2018

  • Power Point v2018

 

 세부 내용

[요약]

  • 정확한 복사 관측자료는 기후 및 날씨뿐만 아니라 해양과 건축 및 농⋅축산 분야 등 중요하게 활용된다.  특히 이어도와 같은 종합해양과학기지는 주변 환경에 의한 복사 반사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관측소로 평가되며 여기서 생산되는 자료는 복사관측의 기준 자료가 될 수 있다.  

  • 또한 BSRN(Baseline Surface Radiation Network) 등 세계복사관측그룹 가입을 위한 필수 장비들(전천과 직달 및 산란 일사계 등)을 갖추고 관측소 환경을 개선할 경우 전 세계적인 중요 관측소로 부각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다.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는 2004년 11월부터 일사계 관측을 수행해 왔고 이 연구에서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 기간에 이어도의 일평균 일사량은 -3.80 W/m2/year로 감소하였고 그 이유는 자연적 원인 이외에 관측장비의 센서 반응도 감소 효과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즉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경우 정밀한 복사 관측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관측소 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관측장비 및 자료 보정이 요구된다.  

  • 그리고 한반도의 대기 청정도와 국민 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중국발 황사와 미세 먼지는 전 세계 과학자들의 중요 관심 대상이기 때문에 이어도뿐만 아니라 신안 가거초 및 옹진 소청초 종합해양과학기지 복사 관측자료를 통한 공동 대응 근거 마련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이들 복사관측소 환경 및 장비 개선 그리고 관측자료 정확성 향상 계획 수립이 시급하다.

 

 

 관련 자료

  • 초교본

 

  • 출판본

이어도 종합해양과학기지의 복사관측소 환경 개선 및 국제화 추진 전략.pdf
3.61MB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