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업무명     : 2016년 2학기 전선 자료분석과 가시화 과제물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20-03-18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개요]

    • 안녕하세요? 기상 연구 및 웹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해솔입니다.

    • 오늘은 대학원 석사 3학기에 배운 자료분석과 가시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 특히 배운 지식를 활용하여 각 주차별 발표 및 토의는 학술 논문 또는 보고서를 작성 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그에 따른 자료분석과 가시화의 "과제물"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특징]

    • 자료분석과 가시화 수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

     

    [기능]

    • 과제물

    • 소스 코드

    • 관련 자료

     

    [사용 OS]

    • Windows 10

     

    [사용 언어]

    • Fortran 90

     

     과제물

    [미 산란 (Mie Scattering)]

    • QSCAT 소스 코드를 이용하여 다음 조건 하에서 결과 Report를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 [조건] 엑셀 첨부 파일에서 파장별 굴절률 자료 참조하여 4가지 입자 (Dust-like, Water soluble, Oceanic, Soot)별 굴절률 (실수부, 허수부) 자료 이용

      1. [과제 1] 4가지 입자별, 산란효율 (QSCAT) vs 입자 크기에 관한 그래프 작성 및 비교 설명

      2. [과제 2] Dust-like 입자에 대하여 입자 크기 = 0.1, 1, 5, 10 um, 550 nm인 경우에서의 산란위상함수 (phase function)를 polar plot 작성 및 비교 설명

      3. [과제 3] 4가지 입자에 대하여 각각 파장별, 입자크기별, 산란계수 (Cext) 3D 또는 2D contour 그래프 작성 및 비교 설명

     

    WCP112_TABLE 2.4_Refractive indices of basic aerosol components.xlsx
    0.02MB

     

     

    [과제 1] 4가지 입자별, 산란효율 (QSCAT) vs 입자 크기에 관한 그래프 작성 및 비교 설명

    • 입자의 산란이론에 의하여 각 입자의 굴절률과 크기분포는 광 산란 및 흡수 효과를 계산할 때 필요하며, 이를 WCP112 Table을 인용하여 사용하였다.  입자의 굴절률은 각 파장에 따라 실수부와 허수부로 나뉘며 이를 입력자료로 하는 미 산란 코드(QSCAT.f)를 통해 이론적으로 계산하였다.  

    • 이때 입자의 모양은 구형으로 가정하였고, 입자 크기는 로 계산하였다.  이러한 구형과 비구형 입자의 광학 특성값은 5-8 % 차이로 보고된 바 있다.

    • 그림 1은 파장 0.55 µm에서 입자크기와 산란 효율을 입자별로 나타냈으며, x축은 입자 크기와 y축은 Log 스케일의 산란 효율이다.  Dust와 Water의 경우 입자 크기가 0~10에서 산란효율이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그 이후로 Dust가 Water에 비해 최대 산란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입자 크기가 증가할수록 산란 효율이 증가하였다.

    • 이와 달리 Soot의 경우, 입자 크기가 20에서 최대 산란효율 나타내며, 입자가 증가할수록 산란효율이 일정하게 나타내었다.  또한 Ocean도 유사한 경향을 띠며 최대 산란효율은 5에서 나타내었다.

    • 이와 같이 WCP112 Table에서 언급된 0.55 µm의 굴절률은 해당 입자간 산란 특성에 차이를 발생시켰으며, 입자 크기가 증가할수록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0.55 µm을 기준으로 입자크기가 작을 때 레일라이 산란이 발생되며, 입자크기가 클 때 미 산란이 발생되는 특성이 있다.

     

    그림 1. 4가지 입자와 입자 크기에 따른 산란효율.

     

    [과제 2] Dust-like 입자에 대하여 입자 크기 = 0.1, 1, 5, 10 um, 550 nm인 경우에서의  산란위상함수 (phase function)를 polar plot 작성 및 비교 설명

    • 그림 2a은  파장 0.55 um, Dust-like 입자에 대하여 산란 각도에 따른 Normalized Forward Direction(이하 NFD)로 나타내며 x축은 산란 각도와 y축은 NTD이다.  

    • 또한 산란각이 0~60˚(전방산란; 빨강 음영), 60~120˚(측방산란; 파란 음영), 120~180˚(후방산란; 초록 음영)으로  나타내었다. 

    • 입자 크기가 0.1 um인 경우, NTD는 산란각이 0˚인 경우에 최대이고 산란각이 증가할수록 NTD가 감소하여 60~120˚ 근처에서 최소값이 나타내고 120~180˚ 사이에서 NTD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 이때 빛의 파장에 비해 입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레일라이 산란이 발생되며, 전방산란이 된 양만큼 후방 산란되어 나타난다 (그림 2b, 그림 2c 참조). 

    • 이와 달리 빛의 파장에 비해 입자 크기가 비슷하거나 큰 경우, 미 산란이 발생되며 전방산란이 현저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에너지가 측방, 후방으로 산란된다 (그림 2b, 그림 2c 참조).  

    • 이때 레일라이 산란과 달리 파장이 길거나 짧거나 파장에 의하여 산란의 강도가 변하지 않고 입자 크기, 종류, 모양에 등에 변화한다.

     

    그림 2a. 입자 크기에 따른 산란위상함수에 따른 NFD.

     

    그림 2b. 입자 크기에 따른 산란위상함수에 따른 NFD (Polar 2D).

     

    그림 2c. 입자 크기에 따른 산란위상함수에 따른 NFD (Polar 3D Contour).

     

    [과제 3] 4가지 입자에 대하여 각각 파장별, 입자크기별, 산란계수 (Cext) 3D 또는 2D contour 그래프 작성 및 비교 설명

    • 그림 3은  입자들에 대하여 각 파장, 입자크기에 따른 산란계수를 2D와 3D로 나타내었으며, x축은 파장 (0-40 µm)과 y축은 입자 크기 (0-100) 그리고 z축은 산란 계수이다. 

    • Dust인 경우, 그림 3a와 같이 입자 크기 (0-20)에서 각 파장별 산란계수와 파장 (0-8 µm)에서 각 입자별 산란계수는 일정하게 나타나며 파장이 8 µm 이후에 각 파장별 입자별 산란계수가 증가함을 나타났다.

    • 이와 같이 8 µm에서 산란계수는 변화가 나타나는 이유는 그림 4a와 같이 Dust에서 굴절률의 실수부가 증가 때문이다.  또한 파장이 30 µm 이상 영역과 입자 크기가 20 이상 영역에서 산란계수가 선형적으로 증가를 보였다.

    • Water인 경우, 그림 3b와 같이 Dust와 유사한 경향을 띠며 특히, 8 µm에서 다른 입자에 비하여 최대 산란계수를 나타났으며 이는 앞서 설명된 바와 일치한다.

    • Ocean인 경우, 그림 3c와 같이 Dust, Water와 유사한 경향을 띠며 8 µm에서 다른 입자에 비하여 최소 산란계수를 나타났으며, 이는 굴절률의 실수부가 감소하기 때문으로 기인된다.

    • 이와 달리 Soot은 그림 4a와 같이 굴절률의 실수부가 다른 입자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그림 4d에서 입자 크기와 파장별에 따른 산란계수는 뚜렷한 변화없이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이는 그림 4a, b와 같이 굴절률의 실수부는 증가하고 굴절률의 허수부가 감소하여 두 요소의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3a. 각 파장, 입자크기에 따른 Dust 산란계수 (2D, 3D Contour).

     

    그림 3b. 각 파장, 입자크기에 따른 Water 산란계수 (2D, 3D Contour).

     

    그림 3c. 각 파장, 입자크기에 따른 Ocean 산란계수 (2D, 3D Contour).

     

    그림 3d. 각 파장, 입자크기에 따른 Soot 산란계수 (2D, 3D Contour).

     

    그림 4a. 각 입자에 따른 실수부.

     

    그림 4b. 각 입자에 따른 허수부.

     

     소스 코드

    [미 산란 (Mie Scattering]

    • 미 산란 계산을 위한 포트란 (Fortran) 소스 코드

          program qscat
    
    c     *****************************************************************
    c      you must make input file "input.dat"
    c      whic included
    c      ' nm(i4),1x,ri(f6.4),1x,si(f5.3)
    c        wavel(f6.3),refre(f7.3),3x,Refim(f12.10)'
    c     ****************************************************************
          real, dimension(80, 10) :: dust, water, ocean, soot
          complex refrel,s1(1000),s2(1000)
    c     *********************************************************
    !      open(unit=1,file='input.dat')
          open(11, file='WCP112.table', status='old')
          open(unit=5,FILE='miesca.out',status='unknown')
          open(unit=10,FILE='phase.out',status='unknown')
    c     *********************************************************
    c       refmed = (real) refractive index of surrounding medium
    c              =1 (air)
    c     **********************************************************
          refmed=1.0
    c     **********************************************************
    c        read particle size distribution parameter
    c     **********************************************************
    !      read(1,1)ri
    !1     format(f6.3)
    !      write(5,*)ri
    c2     format(5x,'nm=',f6.3)
    c     *********************************************************
    c        refractive index of sphere = refre + i*refim
    c     *********************************************************
    !      read(1,*)wavel,refre,refim
    !4     format(f6.3,f6.3,f6.3)
    
    ! LSH
          do ii = 1, 61
             read(11,*) wavel, dust(ii,1:2), water(ii,1:2),  
         &                     ocean(ii,1:2), soot(ii,1:2)
             refre = dust(ii,1)
             refim = dust(ii,2)
    !         refre = water(ii,1)
    !         refim = water(ii,2)
    !         refre = ocean(ii,1)
    !         refim = ocean(ii,2)
    !         refre = soot(ii,1)
    !         refim = soot(ii,2)
    
          write(*,*) wavel, refre, refim
    
          refrel=cmplx(refre,refim)/refmed
    c      write (5,*) wavel,refre,refim
    c5     format(5x,'wavelength=',f6.3,2x,'refre=',f7.3,2x,'refim=',f12.10)
    c      write (5,11)
    !11     format (//,7x,'x',8x,'dp',10x,'QSCAT',8x,'QEXT',10x,'QBACK',8x,
    !     +'CSCAT',9x,'CEXT',9x,'CBACK')
    
    ! LSH
    !	do ri=0.0, 100000.0, 0.1
          do i=1, 1
          ri = 0.55
    c     **********************************************************
    c          Diameter (nm) and wavelength (wavel) same units
    c     **********************************************************
          x=3.14159265*2.0*ri*refmed/wavel
    !      write(*,*) x
    !      write(*,*) refrel
    
    c     ***********************************************************
    c          nang = number of angles between 0 and 90 degrees
    c          matrix elements calculates at 2*nang-1 angles
    c          including 0, 90, and 180 degrees
    c     ***********************************************************
          nang=91
          dang=1.570796327/float(nang-1)
    
          call bhmie(x,refrel,nang,s1,s2,qext,qsca,qback)
    
          csca=2.0*3.141592*(ri**2)*qsca
          cext=2.0*3.141592*(ri**2)*qext
          cback=2.0*3.141592*(ri**2)*qback
    
          write(5,65) x,ri,qsca,qext,qback,csca,cext,cback
    65    format (1x,f9.4,1x,f9.5,1x,e12.6,1x,e12.6,1x,e12.6,1x,e12.6,1x,
         +e12.6,1x,e12.6)
    
    c     ************************************************************
    c      s33 and s34 matrix elements normalized by s11.
    c      s11 is normalized to 1.0 in the forward direction
    c      pol=degree of polarization (incident unpolarized light)
    c     *************************************************************
    C
    c      GO TO 500
    C
          s11nor=0.5*(cabs(s2(1))**2+cabs(s1(1))**2)
          nan=2*nang-1
          do 355 j=1,nan
          aj=j
          s11=0.5*cabs(s2(j))*cabs(s2(j))
          s11= s11+0.5*cabs(s1(j))*cabs(s1(j))
          s12=0.5*cabs(s2(j))*cabs(s2(j))
          s12= s12-0.5*cabs(s1(j))*cabs(s1(j))
          pol=-s12/s11
          s33=real(s2(j)*conjg(s1(j)))
          s33= s33/s11
          s34=aimag(s2(j)*conjg(s1(j)))
          s34= s34/s11
          s11= s11/ s11nor
          ang=dang*(aj-1)*57.2958
    355   write (10,75) ang,s11,pol,s33,s34
    75    format (5x,f6.2,2x,e13.6,2x,e13.6,2x,e13.6,2x,e13.6)
    
    C     ************************************************
    500   CONTINUE
    C     ***********************************************
    
    
    700   continue
    
    ! LSH
          write(99,'(7f15.4)') ri, qsca,qext,qback,csca,cext,cback
          enddo ! i
    
          enddo ! ii
    
          stop
          end
    
    c     *****************************************************************
    c         subroutine BHMIE calculates amplitude scattering matrix
    c         elements and efficiencies for extinction, total scattering
    c         and backscattering for a given size parameter and relative
    c         refractive index
    c     ******************************************************************
          subroutine BHMIE (x,refrel,nang,s1,s2,qext,qsca,qback)
    
          dimension amu(200),theta(200),pi(200),tau(200),pi0(200),pi1(200)
          complex d(3000),y,refrel,xi,xi0,xi1,an,bn,s1(250),s2(250)
          double precision psi0,psi1,psi,dn,dx
          dx=x
          y=x*refrel
    c     **********************************************
    c         series terminated after nstop terms
    c     **********************************************
          xstop=x+4.*x**.3333+2.0
          nstop=xstop
          ymod=cabs(y)
          nmx=amax1(xstop,ymod)+15
          dang=1.570796327/float(nang-1)
          do 555 j=1,nang
          theta(j)=(float(j)-1.)*dang
    555   amu(j)=cos(theta(j))
    c     ********************************************************
    c        logarithmic derivative d(j) calculated by downward
    c        recurrence beginning with initial value 0.0 + i*0.0
    c        at j = nmx
    c     ********************************************************
          d(nmx)=cmplx(0.0,0.0)
          nn=nmx-1
          do 120 n=1,nn
          rn=nmx-n+1
     120  d(nmx-n)=(rn/y)-(1./(d(nmx-n+1)+rn/y))
          do 666 j=1,nang
          pi0(j)=0.0
     666  pi1(j)=1.0
          nn=2*nang-1
          do 777 j=1,nn
          s1(j)=cmplx(0.0,0.0)
     777  s2(j)=cmplx(0.0,0.0)
    c     ****************************************************
    c        Riccati-Bessel functions with real argument x
    c        calculated by upward recurrence
    c     ****************************************************
          psi0=dcos(dx)
          psi1=dsin(dx)
          chi0=-sin(x)
          chi1=cos(x)
          apsi0=psi0
          apsi1=psi1
          xi0=cmplx(apsi0,-chi0)
          xi1=cmplx(apsi1,-chi1)
          qsca=0.0
          gsca=0.0
    
          n=1
     200  dn=n
          rn=n
          fn=(2.*rn+1.)/(rn*(rn+1.))
          psi=(2.*dn-1.)*psi1/dx-psi0
          apsi=psi
          chi=(2.*rn-1.)*chi1/x-chi0
          xi=cmplx(apsi,-chi)
          an=(d(n)/refrel+rn/x)*apsi-apsi1
          an=an/((d(n)/refrel+rn/x)*xi-xi1)
          bn=(refrel*d(n)+rn/x)*apsi-apsi1
          bn=bn/((refrel*d(n)+rn/x)*xi-xi1)
    
          qsca=qsca+(2.*rn+1.)*(cabs(an)*cabs(an)+cabs(bn)*cabs(bn))
    
          do 789 j=1,nang
          jj=2*nang-j
          pi(j)=pi1(j)
          tau(j)=rn*amu(j)*pi(j)-(rn+1.)*pi0(j)
          p=(-1.)**(n-1)
          s1(j)=s1(j)+fn*(an*pi(j)+bn*tau(j))
          t=(-1.)**n
          s2(j)=s2(j)+fn*(an*tau(j)+bn*pi(j))
          if(j.eq.jj) go to 789
          s1(jj)=s1(jj)+fn*(an*pi(j)*p+bn*tau(j)*t)
          s2(jj)=s2(jj)+fn*(an*tau(j)*t+bn*pi(j)*p)
     789  continue
          psi0=psi1
          psi1=psi
          apsi1=psi1
          chi0=chi1
          chi1=chi
          xi1=cmplx(apsi1,-chi1)
          n=n+1
          rn=n
          do 999 j=1,nang
          pi1(j)=((2.*rn-1.)/(rn-1.))*amu(j)*pi(j)
          pi1(j)=pi1(j)-rn*pi0(j)/(rn-1.)
     999  pi0(j)=pi(j)
          if (n-1-nstop) 200,300,300
     300  qsca=(2./(x*x))*qsca
          qext=(4./(x*x))*real(s1(1))
          qback=(4./(x*x))*cabs(s1(2*nang-1))*cabs(s1(2*nang-1))
    
          return
          end

     

    • 파장별 굴절률을 소프트웨어 입력에 용이한 형태로 변경

    0.200    1.530    -0.0700000  1.530    -0.0700000  1.429    -0.0000287  1.500    -0.350 
    0.250    1.530    -0.0300000  1.530    -0.0300000  1.404    -0.0000015  1.620    -0.450 
    0.300    1.530    -0.0080000  1.530    -0.0080000  1.395    -0.0000006  1.740    -0.470 
    0.337    1.530    -0.0080000  1.530    -0.0050000  1.392    -0.0000001  1.750    -0.470 
    0.400    1.530    -0.0080000  1.530    -0.0050000  1.385    0.0000000   1.750    -0.460 
    0.488    1.530    -0.0080000  1.530    -0.0050000  1.382    0.0000000   1.750    -0.450 
    0.515    1.530    -0.0080000  1.530    -0.0050000  1.381    0.0000000   1.750    -0.450 
    0.550    1.530    -0.0080000  1.530    -0.0060000  1.381    0.0000000   1.750    -0.440 
    0.633    1.530    -0.0080000  1.530    -0.0060000  1.377    0.0000000   1.750    -0.430 
    0.694    1.530    -0.0080000  1.530    -0.0070000  1.376    -0.0000001  1.750    -0.430 
    0.860    1.520    -0.0080000  1.520    -0.0120000  1.372    -0.0000011  1.750    -0.430 
    1.060    1.520    -0.0080000  1.520    -0.0170000  1.367    -0.0000601  1.750    -0.440 
    1.300    1.460    -0.0080000  1.510    -0.0200000  1.365    -0.0001410  1.760    -0.450 
    1.536    1.400    -0.0080000  1.510    -0.0230000  1.359    -0.0002430  1.770    -0.460 
    1.800    1.330    -0.0080000  1.460    -0.0170000  1.351    -0.0003110  1.790    -0.480 
    2.000    1.260    -0.0080000  1.420    -0.0080000  1.347    -0.0010700  1.800    -0.490 
    2.250    1.220    -0.0090000  1.420    -0.0100000  1.334    -0.0003500  1.810    -0.500 
    2.500    1.180    -0.0090000  1.420    -0.0120000  1.309    -0.0023900  1.820    -0.510 
    2.700    1.180    -0.0130000  1.400    -0.0550000  1.249    -0.0156000  1.830    -0.520 
    3.000    1.160    -0.0120000  1.420    -0.0220000  1.439    -0.1970000  1.840    -0.540 
    3.200    1.220    -0.0100000  1.430    -0.0080000  1.481    -0.0669000  1.860    -0.540 
    3.392    1.260    -0.0130000  1.430    -0.0070000  1.439    -0.0151000  1.870    -0.550 
    3.500    1.280    -0.0110000  1.450    -0.0050000  1.423    -0.0071700  1.880    -0.560 
    3.750    1.270    -0.0110000  1.452    -0.0040000  1.398    -0.0029000  1.900    -0.570 
    4.000    1.260    -0.0120000  1.455    -0.0050000  1.388    -0.0036900  1.920    -0.580 
    4.500    1.260    -0.0140000  1.460    -0.0130000  1.377    -0.0099700  1.940    -0.590 
    5.000    1.250    -0.0160000  1.450    -0.0120000  1.366    -0.0095700  1.970    -0.600 
    5.500    1.220    -0.0210000  1.440    -0.0180000  1.333    -0.0093100  1.990    -0.610 
    6.000    1.150    -0.0370000  1.410    -0.0230000  1.306    -0.0796000  2.020    -0.620 
    6.200    1.140    -0.0390000  1.430    -0.0270000  1.431    -0.0691000  2.030    -0.625 
    6.500    1.130    -0.0420000  1.460    -0.0330000  1.374    -0.0294000  2.040    -0.630 
    7.200    1.400    -0.0550000  1.400    -0.0700000  1.343    -0.0249000  2.060    -0.650 
    7.900    1.150    -0.0400000  1.200    -0.0650000  1.324    -0.0279000  2.120    -0.670 
    8.200    1.130    -0.0740000  1.010    -0.1000000  1.324    -0.0308000  2.130    -0.680 
    8.500    1.300    -0.0900000  1.300    -0.2150000  1.336    -0.0336000  2.150    -0.690 
    8.700    1.400    -0.1000000  2.400    -0.2900000  1.366    -0.0356000  2.160    -0.690 
    9.000    1.700    -0.1400000  2.560    -0.3700000  1.373    -0.0365000  2.170    -0.700 
    9.200    1.720    -0.1500000  2.200    -0.4200000  1.356    -0.0371000  2.180    -0.700 
    9.500    1.730    -0.1620000  1.950    -0.1600000  1.339    -0.0368000  2.190    -0.710 
    9.800    1.740    -0.1620000  1.870    -0.0950000  1.324    -0.0388000  2.200    -0.715 
    10.000   1.750    -0.1620000  1.820    -0.0900000  1.310    -0.0406000  2.210    -0.720 
    10.591   1.620    -0.1200000  1.760    -0.0700000  1.271    -0.0522000  2.220    -0.730 
    11.000   1.620    -0.1050000  1.720    -0.0500000  1.246    -0.0731000  2.230    -0.730 
    11.500   1.590    -0.1000000  1.670    -0.0470000  1.227    -0.1050000  2.240    -0.740 
    12.500   1.510    -0.0900000  1.620    -0.0530000  1.208    -0.1900000  2.270    -0.750 
    13.000   1.470    -0.1000000  1.620    -0.0550000  1.221    -0.2230000  2.280    -0.760 
    14.000   1.520    -0.0850000  1.560    -0.0730000  1.267    -0.2710000  2.310    -0.775 
    14.800   1.570    -0.1000000  1.440    -0.1000000  1.307    -0.2920000  2.330    -0.790 
    15.000   1.570    -0.1000000  1.420    -0.2000000  1.321    -0.2970000  2.330    -0.790 
    16.400   1.600    -0.1000000  1.750    -0.1600000  1.407    -0.3310000  2.360    -0.810 
    17.200   1.630    -0.1000000  2.080    -0.2400000  1.487    -0.3410000  2.380    -0.820 
    18.000   1.640    -0.1150000  1.980    -0.1800000  1.525    -0.3410000  2.400    -0.825 
    18.500   1.640    -0.1200000  1.850    -0.1700000  1.536    -0.3390000  2.410    -0.830 
    20.000   1.680    -0.2200000  2.120    -0.2200000  1.560    -0.3240000  2.450    -0.850 
    21.300   1.770    -0.2800000  2.060    -0.2300000  1.568    -0.3180000  2.460    -0.860 
    22.500   1.900    -0.2800000  2.000    -0.2400000  1.579    -0.3160000  2.480    -0.870 
    25.000   1.970    -0.2400000  1.880    -0.2800000  1.596    -0.3130000  2.510    -0.890 
    27.900   1.890    -0.3200000  1.840    -0.2900000  1.612    -0.3200000  2.540    -0.910 
    30.000   1.800    -0.4200000  1.820    -0.3000000  1.614    -0.3200000  2.570    -0.930 
    35.000   1.900    -0.5000000  1.920    -0.4000000  1.597    -0.3830000  2.630    -0.970 
    40.000   2.100    -0.6000000  1.860    -0.5000000  1.582    -0.5610000  2.690    -1.000 

     

    • 미 산란 결과를 Origin를 이용하여 가시화

    Mie Scattering.7z
    7.95MB

     

     관련 자료

    • 미 산란 (QSCAT.f) 소스 코드를 이용하여 4가지 입자 (Dust-like, Water soluble, Oceanic, Soot) 별 굴절률 (실수부, 허수부) 계산 및 가시화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