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업무명     : 기상이슈 소개

    • 작성자     : 박진만

    • 작성일     : 2019-12-22

    • 설   명      :

    • 수정이력 :

     

     요약

    [요약]

    • 지도에 표시된 산림의 종류를 통해 멸종위기 종들이 어느 지역에 둥지를 틀고 서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관측지역]

    [관측장비]

    • Landsat 5 / TM

    • Landsat 7 / ETM

    • Landsat 8 / OLI

     내용

    • 태평양 북서부의 숲에 여러분이 방문하게 된다면, 아직까지도 "점박이올빼미(spotted owl)"의 울음 소리를 듣거나 위장한 깃털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30년간 점박이 올빼미를 보존하려는 꾸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종의 생존은 계속해서 여전히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인공위성은 연구원들이 그 이유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 겉으로 보기에 그 이유는 일견 단순해 보인다. 바로 한정된 자원을 두고 치열한 경쟁이 있어왔기 때문이다. 자원이 점점 한정적으로 변해가는 이유는 바로 인간 때문이였는데, 실제로 목재와 종이 제품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인해, 각 회사들로 하여금 올빼미 서식지에서 많은 나무를 베어갔기 때문이다. 상단에서 언급되었던 치열한 경쟁이란, 점차 줄어가는 서식지 안에서 줄무늬올빼미와의 경쟁을 뜻하고 있다. 이 침입적이고 경쟁적인 부엉이 종들은 점박이올빼미의 먹이 공급과 보금자리를 더 많이 고갈시키게 되었다.

    • 심지어 줄무늬 올빼미가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되기도 전에, 1990년대의 서식지 감소는 점박이올빼미가 미국의 멸종 위기종 보호 법에 따라 "위협 받는"것으로 등록될 만큼 충분히 암울해 보였다. 오늘날, 부엉이들은 여전히 위협 받고 있고 개체수는 여전히 감소하고 있다.

    • 지난 30년 동안 위성 및 지상 데이터는 지속적으로 수집되었으며, 새로운 컴퓨터 모델과 연구를 위해 서로간의 데이터를 병합해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마침내 2500만에이커의 삼림 내에 위치한 점박이 올빼미의 미묘한 서식지의 변화가 나타났다.

    • 미국 산림청의 레이몬드 데이비스 (Raymond Davis)는“우리는 이제 지난 30 년 동안 서식지와 산림 교란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에 대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있다. “ 라고 말했다. 서식지 모니터링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시각화를 통해 서식지의 변화 및 원인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추세선과 막대 그래프에 비해 서식지 역학을 더 직관적이고 역동적으로 전달할 수있는 좋은 방법이다.

    1986년 ~ 2017년
    1986년 ~ 2017년

    • 위의 애니메이션은 워싱턴 주 올림픽 반도에 서식하는 올빼미들이 둥지를 트거나 또는 쉬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숲 의 타입 지도를 보여 주고 있다. (여러분은 발견된 올빼미가 둥지를 짓는 것을 볼 수 없을 것이다. 대신에, 기존의 구조물과 나무 구멍, 부러진 나무 꼭대기, 또는 다른 종들이 만든 둥지에 둥지를 짓는다.)

    • 녹색은 'Core cover type'으로, 숲의 나무와 같은 구조물이 충분하고, 부엉이가 보금자리를 꾸미고 잘 수 있을 정도로 넓은 지역을 뜻한다. 오렌지색은 " fragmented cover type" 으로, 숲이 있는 지역은 여전히 서식하기에 적합하지만, 더 큰 서식지가 인근에 없고 곳곳에 조각난 숲이 있는 지역을 뜻한다. 1986년과 2017년 사이의 30년간의 지도는 부엉이의 서식지가 어떻게 변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 올림픽 국립 산림, 특히 Quinault 호수 북서부에서 1990 년대 중반까지 Core 유형의 숲이 감소하였다. 나중에 Core 커버 유형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보이고 일부 지역은 깜빡이고 일부는 채워져 있다. 이것은 1994년에 시행된 노스웨스트 포레스트 플랜이 오래 된 숲에 의존하는 종의 서식지 보호와 토지 이용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과학 기반의 지침을 제정한 결과일 것이다.

    • 이에 비해 올림픽 공원 내의 코어 커버 타입은 비교적 안정적이다. 그러나 2015년 여름 파라다이스 화재가 발생한 QueetsRiver를 따라 펼쳐진 땅은 예외이다. 그 당시, 이 희귀한 열대 우림 화재는 오래 된 서식지를 포함한 약 3,000에이커의 숲을 불 태워 버린 공원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화재였다.

    • 아래의 이미지는 산림 교란의 누적되는 효과를 보여주는 중첩 지도이다. 여기서 금색은 삼림을 벌채한 곳을 의미하며, 붉은색을 화재로 인해 나무가 소실된 곳을 의미한다.

    • 두 지도 모두 미국 산림청(USFS)연례 토지 조사를 통해 측정한 기후, 지형 및 기타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느 지역이 식물, 물, 척박한 땅인지를 알려 줄 수 있는 육지 데이터를 결합한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과학자들은 숲 커버(위에서 볼 때)를 점박이올빼미 쌍이 서식하는 지상 관측과 연관시킴으로써 이들의 서식지를 알아낼 수 있었다.

    • USFS퍼시픽 노스웨스트 연구소의 식생 모니터링 및 원격 감지 팀의 연구원인 데이비드 벨 은"우리는 1986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캘리포니아, 오리건, 워싱턴의 모든 숲에 대한 지도를 만들어 왔고 미국 전역에서 유사한 지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든 땅과 모든 해의 관점은 우리가 숲의 변화를 몇가지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척도로 (유역에서 지역까지, 그리고 수년에서 수십년까지.") 살펴볼 수 있게 해 줍니다.

    •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서식지가 다시 생겨났다고 해서 반드시 종의 수가 회복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점박이 올빼미의 개체 수는 여전히 감소하고 있으며, 주된 원인은 줄무늬부엉이입니다."라고 데이비스가 말했다. "우리는 발견된 올빼미 서식지의 상태와 추세를 추적하기 위해 원격 감지를 계속할 필요가 있지만, 우리는 또한 다른 변수들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