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업무명 : 위험기상 소개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19-09-14 설 명 : 수정이력 : 요약 [정보] 과학자들이 전 세계의 화재 경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하였고 앞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질문에 대한 대답 [관측 위성] Aqua/MODIS DSCOVR/EPIC Terra/MODIS 내용 화재의 통제는 인류의 역사와 함깨하는 오래된 목표이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화재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은 훨씬 더 새로운 영역이라 할 수 있다. 1910 년대 미국 산림청은 먼 곳에 위치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산 정상에 화재 감시탑을 세우기 시작하였다. 수십 년 후, 화재 현장을 찾아다니는 비행기들이 현장으로 날아오게 되었다. 이후 1980 년대 초 부터 위성은 대기..
작성자 정보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19-09-13 요약 [정보] 아프리카 서부 카나리아 제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산지 지역의 소나무 숲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다. [관측 위성] Aqua/MODIS Suomi NPP/VIIRS Terra/MODIS 내용 2019 년 8 월 10 일부터 NASA는 카나리아 제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그란 카나리아 (Gran Canaria)의 숲을 지나가는 불의 파도를 관측하였다. 화재가 아직 주요 주거지와 관광 지역을 강타하지는 않았지만, 당국은 50 개 인근 도시와 마을에 사는 9,000 명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다. Suomi NPP 위성의 VIIRS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는 2019 년 8 월 1..
정보 설명 : 북극해로 흘러 들어가는 담수 및 퇴적물의 양이 증가함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19-09-12 수정이력 : 내용 북극해로 흐르는 5개의 강은 북미와 유라시아에서 엄청난 양의 담수를 이동시켜 북극해로 전달한다. 이 강들 중, 러시아 북부에 위치한 예니세이강은 다른 강들에 비해 가장 많은 양의 담수를 북극해로 수송한다. 바다로 이동하는 동안 예니세이강의 지류는 물을 갈색으로 보이게 만드는 퇴적물 및 유기물을 수송할 수 있다. Landsat-8의 OLI(Operational Land Imager)가 2019년 7월 17일 촬영한 이 이미지는 예니세이가 카라해 (Kara Sea)로 흘러들어와 담수와 바닷물이 혼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미지에서 해빙의 흔적은 Sibiryakov 섬에 여전히..
정보 업무명 : 말라스피나 (Malaspina)의 이동 작성자 : 이상호 작성일 : 2019-09-11 설 명 : 수정이력 : 소개 남극대륙과 그린란드의 얼음 손실은 더 많은 양을 차지한 것처럼 보이나 북극 섬과 중위도 산맥의 빙하로 인한 손실은 상당히 컸다. NASA의 연구팀은 30년 이상의 빙하로부터 얻은 빙하 속도 데이터를 조사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했다. 이는 지구의 빙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탐지하는 데 중요한 변수이다. 또한 두 개의 빙하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산에서의 빙하가 어떻게 변화하고 미래에 흐름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이해하는 것은 복잡하다. 예를 들어 알래스카 남동부에 있는 말라스피나 빙하는 빠르게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으나 빙하 내의 움직임은 복잡하다. 위의 영상은 198..
정보 업무명 : 희망봉의 유래와 주변 기상 및 해류 소개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19-09-11 설 명 : 수정이력 : 내용 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의 우주 비행사가 남아프리카 남서부 해안의 사진을 촬영했다. 희망봉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입법수도인 케이프타운이 위치한 케이프 반도의 남쪽 끝에 자리잡고 있다. 희망봉은 원래 포르투갈 탐험가 Bartolomeu Dias에 의해 1480년대 “폭풍의 곶 (Cape of Storms)” 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나 나중에 아프리카 남부 해안을 지나는 거점 (Cape Sea Route)으로서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 들이기 위해 희망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희망봉은 결국 유럽에서 아시아로 여행하는 선원들에게 중요한 항구 및 ..
정보 업무명 : 나선구름 소개 작성자 : 박진만 작성일 : 2019-09-11 설 명 : 수정이력 : 소개 대기는 장애물에 닿는 경우 그 흐름과 방향이 변화하는 유체이다. 실제로 나무나 물의 표면에 바람이 불 때 우리는 일상적인 규모에서 이러한 유동적인 바람의 움직임을 보거나 느낄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일상적인 스케일 이외에도 훨씬 거대한 뒤틀림과 굴곡을 인공위성을 통해 관측할 수 있다. 위의 영상은 2019년 07월 19일 모로코 연안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나선형의 구름 패턴들을 보여주고 있다. 폰 카르만 소용돌이 (von Kármán vortices)로 알려진 에디 (Eddy)는 고체에 의해 유체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어디서든 형성 될 수 있다. 이번 사례의 경우, 이러한 소용돌이는 북대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