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

    • 업무명     : 정보처리기사 실기 : 29강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네트워크 기초 활용하기)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20-05-10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네트워크 계층 구조 파악]

    [1] 네트워크 개요 
    •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수신자 또는 기기에 정확하게 전송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를 네트워크라고 한다. 

       

    • 정보 전달 시에는 약속한 규칙에 따라야 하는데 이를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 거리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 WAN 광대역 네트워크 

         

        • LAN에 비해 전송 거리가 넓음. 라우팅 알고리즘이 필요함 

           

        • LAN 대비 에러율이 높고 전송 지연이 큼  

      • LAN 근거리 네트워크 

         

        • 한 건물 또는 작은 지역을 커버하는 네트워크임

    • 1. WAN(Wide Area Network) 

      • 국가, 대륙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 거리에 제약이 없으나 다양한 경로를 지나 정보가 전달되므로 LAN보다 속도가 느리고 에러율도 높다. 

      • 전용 회선 방식 은 통신 사업자가 사전에 계약을 체결한 송신자와 수신자끼리만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이며, 

      • 교환 회선 방식은 공중망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선로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 (1) 회선 교환 방식 

        • 물리적 전용선을 활용하여 데이터 전달 경로가 정해진 후 동일 경로로만 전달이 된다.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양을 의미하는 대역폭이 고정되고 안정적인 전송률 을 확보할 수 있다. 

      • (2) 패킷 교환 방식 

        • 패킷이라는 단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패킷이란 정보를 일정한 크기로 분할한 뒤 각각의 패킷에 송수신 주소 및 부가 정보를 입력한 것이다. 현재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2]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 국제 표준화 기구인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계층 표현 모델이다. 각 계층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 기능을 제공한다. 1계층인 물리 계층부터 7계층인 애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정의되어 있다. 

     

    • 네트워크 관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최근에는 5, 6계층 레이어는 7계층 레이어로 합쳐 통칭하기도 한다. 

     

    [3] 네트워크 주요 장비
    • 1. 허브, 리피터 

       

      • 허브는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로 보내거나 하나의 네트워크로 수신된 정보를 여러 대의 컴퓨터로 송신하기 위한 장비이다. 리피터는 디지털 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여 신호가 약해지지 않고 컴퓨터로 수신되도록 한다. 

         

    • 2. 브리지, 스위치 

       

      • 브리지와 스위치는 두 시스템을 연결하는 네트워킹 장치이며 두 개의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들어 준다. 스위치는 하드웨어 기반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며, 브리지는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다. 브리지는 포트들이 같은 속도를 지원하는 반면, 스위치는 각기 다른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 는 제공하는 포트 수가 수십, 수백 개로 2~3개의 포트를 제공하는 브리지보다 많다. 브리지는 Store and Forwarding 전송 방식만을 사용하나, 스위치는 Cut Through와 Fragment Free 방식을 같이 사용한다. 

         

        • Store and Forwarding: 데이터를 전부 받은 후 다음 처리를 하는 방식 

           

        • Cut Through: 데이터의 목적지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전송 처리하는 방식 

           

        • Fragment Free: 위 두 방식의 장점을 결합한 방식

    • 3. 라우터  

       

      • 라우터는 망 연동 장비이다.  

         

      • PC 등의 로컬 호스트가 LAN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며, WA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WAN에 접근하도록 한다.  

         

      • 라우팅 프로토콜은 경로 설정을 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지정된 데이터가 안전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수행]

    [1] OSI 7계층 구성에 따라 전달되는 데이터의 형식을 파악한다.
    • 응용 계층부터 물리 계층으로 데이터가 전달될 때 전달되는 정보의 종류와 형식이 상이하다.

     

    • 1. Data 구조의 특징을 파악한다. 

       

      • 데이터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과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전달되 며 16bit, 24bit, 36bit, ASCII, BCDIC, Binary 등으로 구분된다. 각 전달 방식의 특징과 장단 점을 파악하고 데이터 표현 방식을 정리한다. 

         

    • 2. TCP 헤더의 정보를 조사한다.

       

      • TCP 헤더는 송수산자의 포트번호, 순서 번호, 응답 번호 등을 전달되는 정보를 조사하여 정리한다. 

         

    • 3. IP 헤더가 포함하는 정보를 파악한다.

       

      • IP 헤더는 IP 버전과 전송지 IP, 목적지 IP뿐만 아니라 프로토콜의 종류, 서비스 타입 등이 표준화되어 있다. IP 헤더는 IPv4와 IPv6 IP 체계에 따라 다른 표준을 따른다. - IPv4와 IPv6 방식 간 차이점을 조사하고 주소 표기 체계를 구분한다. 

    • 4. MAC 주소의 특징을 파악한다. 

      •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다.

      • IEEE 802 네트워크 기술에 네트워크 주소로 사용되며, 이더넷과 와이파이를 포함한 대부분의 기기들이 주소를 가지고 있다. 자신이 보유한 네트워크 접속 가능 장비의 MAC 주소를 확인한다. 

        • (1) Windows 시스템에서 MAC 주소 확인하기 

          • 윈도의 시작 버튼을 눌러 실행을 클릭한다. 

          • `CMD' 명령어를 입력하여 코멘드 명령어 창을 호출한다. 

          • 명령어 창에 `ipconfig/all'을 입력하면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 (2) 리눅스, 유닉스에서 MAC 주소 확인하기 

          • `root@hostname:~#ifconfig' 명령어를 사용하면 윈도즈와 마찬가지로 MAC 주소를 확인 할 수 있다

     

    [2]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장비 구성을 파악하고 역할을 확인한다.
    • 인터넷망을 통해 전달되는 각 장비의 특성을 파악한다. 

     

    • 1. 각 장비의 역할을 조사한다. 

       

      • (1) [그림 3-4]의 1번 영역은 소규모 네트워크망이다. 소규모 LAN망에 설치된 허브, 스위칭허브와 대용량망에 설치된 망 스위칭허브의 차이점을 구분한다. 

         

        • 허브: 다수의 오프라인, 온라인 접속 기기들을 로컬 네트워크(LAN)에 연결하기 위한 장비이다. 수신한 프레임을 수신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전송한다. 

           

        • 스위치: MAC 주소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가진 장비 측 포트로만 프레임을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 스위칭허브: 스위치 기능을 가진 허브를 의미하며 요즘 사용되는 대부분의 허브가 스위칭허브이다. 

           

        • 망(백본) 스위칭허브: 광역 네트워크를 커버하는 스위칭허브이다. 예를 들어 경남권 스위칭, 부산권 스위칭 등 대단위 지역을 커버한다. 

           

        • 라우터: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과 WAN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네트워킹 장비이다. 

        • 유무선 인터넷 공유기: 외부로 부터 들어오는 인터넷 라인을 연결하여 유선으로 여 러대의 기계를 연결하거나 무선 신호로 송출여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인터넷 라인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기기이다. 

        • 브리지: 두 개의 근거리 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 NIC(Network Interface Card):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장치이다. 

        • 리피터: 감쇠된 전송 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다시 전달하는 재생 중계 장치이다. 

        •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을 서로 다른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게 해 주는 장치이다

      • (2) 스위칭허브 매뉴얼을 참조하여 사용되고 있는 표준과 주요 기능을 파악한다

     

    • (3) L2 스위치와 L3, L4 스위치의 기능상 역할을 구분한다. L2, L3, L4 스위치는 OSI 중 어떤 계층에서 수행되는가에 따라 구분된다. 각 레이어에서 스위칭기능이 일어날 때의 장단점을 파악한다. 

     

    • (4) 스위치와 라우터의 기능상 차이를 구분한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가장 이상적인 데이터 전달 경 로를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 2. 네트워크 변동에 따른 영향을 파악한다. 

       

      • [그림 3-4]의 1번 영역이 확장되어 사용해야 하는 기기가 500여 대로 증가할 경우 스위칭허브 구성도를 작성한다. 

         

      • [그림 3-4]의 2번 영역을 확장하여 국가 간 네트워크를 연결해야 할 경우 필요로 하는 장비를 정의하고 구성도를 작성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파악]

    [1]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요
    • 네트워크 프로토콜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통신 규약 또는 규칙에는 전달 방식, 통신 방식, 자료의 형식, 오류 검증 방식, 코드 변환 규칙, 전송 속도 등을 정하게 된다. 다른 기종의 장비는 각기 다른 통신 규약을 사용하는데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다른 기기 간 정보의 전달을 표준화할 수 있다. 

       

      •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단편화: 전송이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것 

           

        • 재조립: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 

           

        • 캡슐화: 상위 계측의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것 

           

        • 연결 제어: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속도를 제어하는 것 

           

        • 오류 제어: 전송 중 잃어버리는 데이터나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를 검증하는 것 

           

        • 동기화: 송신과 수신 측의 시점을 맞추는 것 

           

        • 다중화: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기기들이 접속할 수 있는 기술 

           

        • 주소 지정: 송신과 수신지의 주소를 부여하여 정확한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 것

    • IP(Internet Protocol) 주소는 전 세계 컴퓨터에 부여되는 유일한 식별자이다.

      • IP는 각 나라의 공인 기관에서 할당하고 관리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관리한다.

      • IPv4는 인터넷 초기부터 현재까지 쓰고 있는 주소 체계이며 000.000.000.000과 같이 12자리 로 표시하며 약 43억 개를 부여할 수 있다. 

      • 최근에는 디바이스의 증가로 IPv4가 가진 주소 의 양이 부족할 수 있어 IPv6를 공표하였다. 

      • 2018년 현재는 IPv4와 IPv6가 공존하며 두 개의 주소 체계를 변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담당하는 것을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라고 한다. 

      • IPv6는 이전 버전에 비하 여 효율적인 패킷을 처리하고 보안이 강화된 특징이 있다.

     

    [2] TCP/IP 프로토콜
    • TCP/IP이란 TCP와 IP 프로토콜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UDP(User Datagram Protocol),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Reverse ARP) 등 관련된 프로토콜을 통칭한다. 

       

    • TCP와 UDP로 구분되는 프로토콜은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응용 계층과 인터넷 계층 사이의 통신을 담당한다. 

     

    • TCP와 UDP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에 있다. TCP는 수신 측의 수신 가능 상태, 수신 여부 등을 단계별로 체크해 가며 데이터를 전송하는 반면, UDP는 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뿐 확인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다. 

       

    • 1.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CRC 체크와 재전송 기능을 통해 신뢰성 있는 전송을 확보한다. 

         

      • Flow Control 기능을 수행하여 단계별 데이터 전송 상황을 체크한다. 

         

      • 논리적인 1:1 가상 회선을 지원하여 해당 경로로만 데이터가 전달되도록 한다. 

         

      • 대표 서비스: FTP, Telnet, Http, SMTP, POP, IMAP 등 

         

    • 2. UDP(User Datagram Protocol) 

       

      • 연결되어 있어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 수신 측의 수신 여부는 확인하기 어렵다. 

         

      • Flow Control, Error Control을 하지 않아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에는 부적합하다. 

         

      • 하나의 송신 정보를 다수의 인원이 수신해야 할 경우 UDP를 사용한다. 

         

      • 대표 서비스: SNMP, DNS, TFTP, NFS, NETBIOS, 인터넷 게임/방송/증권 등 

    • 3. TCP/UCP의 헤더 구조 

      • 위와 같은 프로토콜의 차이는 헤더의 구조에 잘 나타나 있다. 

        • 송/수신자 포트번호: 송신-수신 프로세스에 할당되는 포트 주소

        • 순서 번호: 송신자가 전하는 데이터 전송 순서 

        • 응답 번호: 제대로 수신했는지 여부를 수신자 측으로부터 전달받음. 

        • 데이터 오프셋: 헤더의 크기 

        • 예약 필드: 다른 사용 목적으로 확보된 필드로 실제 사용 안 함. 

        • 윈도 크기: 수신 윈도의 버퍼 크기 지정 

        • Checksum: 헤더와 데이터의 오류 검출 

        • 긴급 위치: 긴급 데이터 처리용 

        • 제어 비트: 긴급 필드 설정, 응답 번호 유효 여부 등 체크

     

    [수행]

    [1] IP(Internet Protocol)에 대한 체계를 확인한다.
    • 세계 인터넷 주소 자원의 총괄 관리 기관인 IANA(Internet Assigned Names Authority)에서 IP 주소를 관리한다. IANA는 각각의 대륙별 인터넷 주소 자원 관리 기관인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에 주소를 분배하고, 한국인터넷정보센터(한국인터넷진흥원의 전신)는 국 내 인터넷 주소 자원 관리 기관으로서 IP주소를 관리한다. 

       

    • 1. IPv4 vs IPv6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IPv4 주소는 전 세계적으로 약 43억 개로 제한되어 관리되는 유한한 주소 체계이다. 일부 는 특수한 목적으로 예약되어 있다. IPv6 주소는 IPv4의 주소 개수가 고갈되는 문제를 해 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IPv4 주소 체계를 128비트 크기로 확장한 인터넷 프로토콜로 충분 한 수의 디바이스에 IP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 2. 운용 단말에서 IPv4와 IPv6의 설정을 확인하고 주소를 부여한다. 

       

      • 윈도즈에서 `무선 네트워크 연결 속성' 창을 연다. version 4는 IPv4, version 6은 IPv6를 말한다. IP 설정 시에는 자동으로 주소를 부여받는 방법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주소를 받아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 IP 주소를 수동 설정해 본다.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주소를 받고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 웨이, DNS 서버를 설정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해 본다. 

     

     

     

     

    [2] TCP/UCP 차이점을 파악한다.
    • TCP와 UDP의 전송 차이를 다음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각 헤더 내 정보 역할에 대하여 정리한다. 

     

    [네트워크 핵심 알고리즘 파악]

    [1] 패킷 스위칭
    • WAN을 통해 데이터를 원격지로 송부하기 위해 X.25, 프레임릴레이 및 ATM과 같은 다양 한 기술들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 1. X.25 

       

      • 전기 통신 국제기구인 ITU-T에서 관리 감독하는 프로토콜이다. 

         

      • X.25는 패킷이라고 불리는 데이터 블록을 사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다수의 패킷으로 분리하여 송신하며, 수신 측 에서는 다수의 패킷을 결합하여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한다. 

         

      • X.25는 OSI 7계층상의 레이어 중 1~3계층까지를 담당하고 있다.

     

    • 2. 프레임릴레이 

       

      • 프레임릴레이는 ISDN을 사용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ITU-T에 의해 표준으로 작성되었고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X.25가 고정된 대역폭을 갖는 반면, 프레임릴레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유연한 대역 폭을 할당한다. 

           

        • 망의 성능 향상을 위해 에러 제어 기능과 흐름 제어 기능을 단순화시켰다. 

           

        • X.25가 OSI 7계층 중 1~3계층까지를 담당하는 반면, 프레임릴레이는 1~2계층만을 담당 한다. 

           

        • 전용선을 사용하는 것보다 가격이 저렴하며 기술적으로는 X.25에 비해 우위에 있다. 

    • 3.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 

      • ATM은 비동기 전송모드라고 하는 광대역 전송에 쓰이는 스위칭 기법이다. 동기화를 맞추 지 않아 보낼 데이터가 없는 사용자의 슬롯은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 크상의 효율성을 높였다. ATM망은 연결형 회선이기 때문에 하나의 패킷을 보내 연결을 설정하게 되고 이후 실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진다. ATM은 OSI 7계층과는 다른 고유한 참 조 모델을 가지고 있다.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물리적 전송 매체를 다룬다. 

        • ATM 계층: 셀과 셀 전송을 담당한다. 셀의 레이아웃을 정의하고 헤더 필드가 의미하는 것을 알려 준다. 또 가상 회선의 연결 및 해제, 혼잡 제어도 다룬다. 

        • AAL(ATM Adaptation Layer): 패킷을 작은 조각인 셀로 전송한 후 다시 조립하여 원래 의 데이터로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2] 서킷 스위칭
    • 패킷 스위칭과 달리 네트워크 리소스를 특정 사용층이 독점하도록 하는 것을 서킷 스위칭 이라 부른다. 

       

    • 네트워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이 보장(Guaranteed)된다는 특징이 있다. 

       

    • 서킷 스위칭은 서킷을 확보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실 데이터를 전송하며 서킷을 닫는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 이러한 작업이 일어나는 동안 다른 기기들은 해당 경 로를 사용할 수 없다. 

     

    [3] 라우팅 알고리즘
    • 데이터는 송신 측으로부터 수신 측까지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적인 장치들을 거쳐 간다.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법칙이 라우팅 알고리즘이다. 

       

    • 1. 거리 벡터 알고리즘(Distance vector algorithm) 

       

      •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최단 경로 스패닝트리를 찾고 그 최적 경로를 이용할 수 없을 경우에 다른 경로를 찾는다. 

         

      • 각 라우터가 업데이트될 경우마다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보 내라고 요청하지만 수신된 경로 비용 정보는 이웃 라우터에게만 보내진다. 링크 상태 라우팅 알고리즘보다 계산 면에서 단순하다.

         

    • 2. 링크 상태 알고리즘(Link state algorithm) 

       

      •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모든 경로를 파악한 뒤 대체 경로를 사전에 마련해 두는 방식이다.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일관성 있게 파악할 수 있으나 거리 벡터 알고리즘에 비하여 계산이 더 복잡하고 트래픽을 광범위한 범위까지 전달해야 한다. 

    • 3. 라우팅 프로토콜의 종류 

     

    [수행]

    [1] 패킷 스위칭과 서킷 스위칭의 차이점을 파악한다.
    • 두 방식 간의 의미와 장점에 대한 정의를 파악한다.

    • 장단점에 따라 실생활에 사용하는 서비스들이 어떠한 방식을 활용해야 하는지 이유를 정의하고 유사 사례를 조사한다. 

     

     

    • 서킷 방식은 데이터를 일부를 송수신하여 전달 경로를 파악하고 확보한 뒤 실데이터를 전달하는 반면, 패킷 전달 방식은 헤더의 주소 정보에 따라 수신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2] 라우팅 경로를 직접 설정해 본다.

     

    • 2. 라우팅 경로를 변경해 본다. 

      • `C:\>route add' 명령어로 특정 경로에 있는 패킷을 다른 곳으로 우회시킨다. (예) C:\>route add 192.168.1.0 mask 255.255.255.xxx 192.168.123.xxx metric 1

      • `-p' 옵션으로 리부팅 후에도 지속적으로 설정을 유지하도록 한다. (예) C:\>route -p add 192.168.1.0 mask 255.255.255.xxx 192.168.123.xxx metric 1

      • `route delete' 명령어로 라우팅을 삭제한다. (예) C:\>route delete 192.168.1.0 mask 255.255.255.xxx 210.116.123.xxx

    • 3. 리눅스에서 라우팅 경로를 변경해 본다. 

      • `# route add –net' 명령어를 사용하여 특정 IP에서 들어오는 패킷 경로를 변경한다. (예) # route add -net 192.168.1.xxx netmask 255.255.255.xxx dev eth0

      • `route-eth1' 파일을 불러와 설정 파일 자체를 변경하면 시스템이 재부팅된 이후에도 라우팅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 `route del' 명령으로 라우팅을 삭제할 수 있다. (예) # route del default gw

        192.168.0.XXX

     

    [연습문제]

    • WAN(Wide Area Network)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 국가, 대륙과 같이 광범위한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 거리에 제약이 없으나 다양한 경로를 지나 정보가 전달되므로 LAN보다 속도가 빠르고 에러율도 높다. 

      • 전용 회선 방식은 통신 사업자가 사전에 계약을 체결한 송신자와 수신자끼리만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 이다. 

      • 교환 회선 방식은 공중망을 활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선로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잘못된 것은?

      • 단편화: 전송이 가능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지는 것 

      • 재조립: 단편화되어 온 조각들을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는 것 

      • 캡슐화: 상위 계측의 데이터에 각종 정보를 추가하여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것 

      • 오류 제어: 데이터의 전송량이나 속도를 제어하는 것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

     

     

     

     

     

     

     

     

     

     

     

    본 블로그는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