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보

    • 업무명     : 정보처리기사 실기 : 13강 인터페이스 구현 (인터페이스 설계서 확인하기)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20-05-10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외부 및 내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

    [1] 인터페이스 설계서
    • 인터페이스 설계서는 이 기종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한 목적으로 각 시스템의 교환 데이터 및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일반적인 내용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설계서(정의서) 외에도 다양한 다이어그램 및 데이터 포맷을 포함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설계서가 있다.

       

    • 1. 인터페이스 설계서(정의서) 

       

      •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현황을 한눈에 확인하기 위하여 한 시스템이 갖는 인터페이스 목록 및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데이터 명세와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를 정의한 문서이다. 

     

    • (1)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

       

      • 한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현황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스템이 갖는 인터페이스 목록과 인터페이스 명세를 보여 주는 설계 문서이다. 

         

      • (가) 인터페이스 목록 

         

        • 시스템에서 가지고 있는 인터페이스 목록을 보여 준다. 인터페이스 번호 및 인터페이스 되는 시스템의 정보 및 관련 요구 사항 ID(요구 사항 정의서의 요구 ID)를 리스트(목록) 형태로 보여 준다. 

           

      • (나) 인터페이스 명세 

         

        • 인터페이스 목록에 있는 각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를 보여 준다. 각 인터페이스 번호당 인터페이스 되는 데이터, 데이터 형식,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등을 구체화 한다.

    • (2)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정의서 

       

      • 인터페이스를 통한 각 세부 기능의 개요, 세부 기능이 동작하기 전에 필요한 사전 조건, 사후 조건 및 인터페이스 파라미터(데이터), 호출 이후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반환값 등을 정의한 문서이다

     

    • 2. 정적・동적 모형, 데이터 포맷 형태에 따른 인터페이스 설계서 

       

      • 정적, 동적 모형으로 각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표현한 다이어그램을 통해 시스템, 컴포넌트별 인터페이스와 요구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 (1) 정적, 동적 모형을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 간 트랜잭션을 보여 주고,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는 어디에 속하고 어떤 트랜잭션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교환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2) 데이터 정의를 통한 인터페이스 설계서 

       

      •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서비스에 대한 상세 명세를 표현하는 산출물이다. 

         

      • 제공 서비스 목록과 이에 대한 인터페이스 방식 및 명세, 리턴 형태까지 정의를 상세화 하여 개발 수준에서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 잘 명시되어 있다. 

     

    [수행]

    [1] 내부, 외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하기
    •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하여 확인하여 향후 인터페이스 개발에 필요한 공통 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 1.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해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한다.

       

      • 시스템 및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에서 작성된 외부 및 내부 모듈을 통해 각 모듈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 (1)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하여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한다.

         

        •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하나인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하여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목록의 송신 및 전달 영역까지는 외부 모듈에 포함되고 수신 측 영역은 내부 모듈에 포함된다고 판단할 수 있다.

     

    • (2)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하여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한다. 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하여 상세 기능에 대한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 을 확인할 수 있다. 오퍼레이션 및 사전 조건을 통해 상세 기능의 외부 모듈을 사후 조건을 통해 상세 기능의 내부 모듈을 확인한다. 

     

    • 2. 정적, 동적 모형을 통해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한다. 정적, 동적 모형(다이어그램)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표현할 수 있고 이를 경계로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2]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과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 식별된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 1.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적으로 제공되는 기능을 확인한다.

       

      • 외부 및 내부 모듈의 주요 기능을 나열하고 그 중 공통되는 기능을 확인한다. 상위 수준에서의 기능 구분은 인터페이스 공통 기능을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각 시스템의 기능을 세분화하여 공통되는 영역을 식별한다

     

    • 2.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각 데이터의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인터페이스 설계서에 정의된 외부 및 내부 모듈을 기반으로 공통 기능을 식별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필요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항목을 확인한다.

       

      • [그림 1-8]의 예시로 볼 때 인사 관리에서 작성된 급여 내역을 회계상에 반영하기 위해 전표를 발생시키려고 할 때 필요한 전송 전보와 급여 전표 발생 이후 나오는 결괏값이 공통 기능에 표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모듈에서 공통 기능으로 입력되는 파라미터 값이 인터페이스 입력 값이 되고 공통 기능에서 출력되는 값이 인터페이스 처리 이후 반환 값이 된다

     

    [외부 및 내부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

    [1] 내부, 외부 모듈 연계 방법(EAI, ESB 연계 방법)
    •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해 외부 및 내부 모듈을 연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방식과 ESB(Enterprise Service Bus) 방식이 있다. 

       

    • 1.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1) EAI의 개념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 을 가능하게 해 주는 솔루션이다. EAI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 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 (2) EAI의 구축 유형 

         

        • EAI는 크게 Peer to Peer형, Hub & Spoke 방식, Bus 형태의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2. ESB(Enterprise Service Bus) 

       

      • ESB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합 측면에서 EAI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으나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비스 중심으로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 또는 기술이다. 

         

      • (1) ESB의 개념 

         

        • 웹 서비스 중심으로 표준화된 데이터, 버스를 통해 이 기종 애플리케이션을 유연 (loosely-coupled)하게 통합하는 핵심 플랫폼(기술)이다. 

           

        • ESB는 Bus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이 되게끔 변환이 가능하고 서비스 중심으로 메시지 이동을 라우팅 할 수 있다. 

           

        • 관리 및 보안이 쉽고 높은 수준의 품질 지원이 가능하지만 표준화가 미비하고 특정 벤더 종속, 성능 문제에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남아 있다.

     

    [외부 및 내부 모듈 연계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1]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 외부 및 내부 모듈 간 데이터를 교환하고 상호 호환이 되게 하기 위해서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정의하고 이를 관리하여야 한다. 

       

    • 1.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개념 

       

      •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이란 인터페이스를 위해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할 범위의 데이터들의 형식과 표준을 정의하는 것이다. 기존에 있던 데이터 중 공통의 영역을 추출하여 정의하는 경우도 있고 인터페이스를 위해 한쪽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도 있다

     

    • 2.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예시 상호 인터페이스 해야 할 모듈의 데이터 표준과 함께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같이 정의하고 산출물에 표현한다. 

       

      • (1) 송, 수신 측 모듈의 데이터 표준

         

        • 일반적으로 업무적인 테이블 정의서 내용과 같으나 인터페이스가 필요한 부분은 별도로 표기하여 인터페이스에 사용될 것임을 알려 준다.

     

    • (2) 인터페이스 모듈의 데이터 표준 

       

    •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데이터 포맷의 표준을 표현한다. Json, DB, XML 등 다양한 형태 로 인터페이스 모듈의 표준 형태는 표현이 가능하다.

     

    [수행]

    [1]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확인한다. 

       

    • 1.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각 인터페이스의 입력 값, 출력 값의 의미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데이터 표준을 작성한다. 

         

      • (1)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의미를 파악한다. 

         

        • 데이터 표준 작성을 위해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입력 값, 출력 값이 의미하는 내용을 파악한다. 각 출력 값이 의미하는 바와 데이터의 특성 등 참고할 만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 (2)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의미 파악을 통한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각 항목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이해하고 확인한 후에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 2.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서 데이터 인터페이스에서 정의된 데이터 표준을 검증하고 추가 보완할 부분이 없는지 확인 및 검증한다. 

         

      • (1)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을 식별한다.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을 식별한다. 인터페이스 기능 을 구현하려면 필요한 항목이 무엇인지 분석하고 나열하는 형태로 작성한다. 

           

        • 필요 데이터 항목과 이전에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항목에서 조정(수정, 추가, 삭제)되어야 할 항목은 없는지 검토한다.

     

    • 3.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 표준 및 조정해야 할 항목 을 검토 및 확인하고 이에 따라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확인된 데이터 표준을 어디에서 도출(데이터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기능)하였는지를 구분하여 작성한다

     

     

    [연습문제]

    • EAI의 구축 유형은 크게 Peer to Peer형, Hub & Spoke 방식, Bus 형태의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음 중 Peer to Peer형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 간 Point to Point 형태로 연결 

         

      • 단일 접점이 허브 시스템 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하는 중앙 집중적 방식 

         

      •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버스)를 두어 처리, 미들웨어 통한 통합 

         

      • 그룹 내에는 Hub & Spoke 방식을 그룹 간 메시징 버스 방식을 사용

     

    • EAI의 구축 유형은 크게 Peer to Peer형, Hub & Spoke 방식, Bus 형태의 구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다음 중 Hub & Spoke 방식의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 간 Point to Point 형태로 연결 

         

      • 단일 접점이 허브 시스템 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 하는 중앙 집중적 방식 

         

      •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버스)를 두어 처리, 미들웨어 통한 통합 

         

      • 그룹 내에는 Hub & Spoke 방식을 그룹 간 메시징 버스 방식을 사용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

     

     

     

     

     

     

     

     

     

     

     

    본 블로그는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