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cel] 엑셀에서 영업일 (근무일수) 구하는 방법

 정보

  • 업무명     : 엑셀에서 영업일을 구하는 함수 소개
  • 작성자     : 박진만
  • 작성일     : 2020-01-09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특징]

  • 엑셀에서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 일수를 계산하는 함수를 소개한다.

 

[기능]

  • 토요일, 일요일 제외한 영업일 구하기
  • 공휴일 까지 제외한 영업일 구하기

 

[활용 자료]

  • 없음

 

[사용법]

  • 없음

 

[사용 OS]

  • Window 10

 

[사용 언어]

  • Excel v2010

 

 세부 내용

[개요]

  • 엑셀에서 영업일을 구하고자 하는 경우 영엽일을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엑셀 내부의 NETWORDAYS 함수를 통해 위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 이 함수는 시작일과 종료일을 인수 (입력)으로하여 그 기간의 영업일수를 자동으로 계산해준다.

 

[주말을 제외한 영업일수 계산]

  • ※ 비교를 위해 2020년 01월 달력을 미리 준비함.
  • 아래에는 미리 시작일 (B9)에 "2020/1/1" 그리고 종료일 (C9) "2020/1/31"을 입력한다. (시작과 끝 지정)
  • 영업일수를 표시하는 셀 (F10)에 NETWORKDAYS 함수를 입력한다.
    • =NETWORKDAYS(시작일,종료일)

 

 

  • NETWORKDAYS 함수의 기본적인 사용법은 첫 번째 인수에 "시작 날짜" 를 지정하고 두 번째 인수에 "종료 날짜" 를 지정하면 된다.
  • 이 2 개의 입력 정보에서 주말을 제외한 영업일이 자동 계산된다.
  • 위의 달력에서 직접 확인하면 2020 년 1 월 회색영역 (주말) 제외한 일수가 23일 이고, NETWORKDAYS 함수도 같은 23 일을 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말 및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수 계산]

  • 다음은 주말에 공휴일까지 제외한 영업일수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실제 영업일을 계산하고 싶은 경우 공휴일을 포함하는 것이 더욱 올바른 방법일 것이다.
  • 이 경우 영업일수를 표시하는 셀에 NETWORKDAYS 함수를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 NETWORKDAYS 함수의 첫 번째 인수, 두 번째 인수는 앞서 소개 한 방법과 동일하며, 세 번째 인수로 "공휴일"을 지정 하게 된다.
  • 즉 "공휴일"을 지정하여 영업일로부터 주말 이외에 공휴일까지 제외되는 원리이다.
  • 위의 예시에서는 공휴일 시트의 A2:A17 까지의 영역을 참조하여 추가적으로 공휴일을 지정하고 있다. (위의 설명 이미지 참조)

 

[추가 편집을 막기 위한 공휴일 시트 숨기기]

  • 연간 휴일을 입력 한 시트는 한번 만들어지면 추가적으로 편집할 일이 거의 없다.
  • 따라서 추가 편집을 막기 위해 공휴일 시트는 보이지 않게 숨기는 것이 좋다.
  • 절차는 아래와 같다.
    • 숨기려는 공휴일 시트를 선택하고 (①), 오른쪽 클릭 메뉴에 표시되는 "숨기기"를 선택 (②)

 

 

  • 이렇게 하면 공휴일 시트가 숨겨지게 된다.

 

 

  • 다시 시트를 보이게 하고 싶은 경우 동일한 지점에 오른쪽 클릭 후 "숨기기 취소" 를 선택하면 된다.

 요점

  • NETWORKDAYS 함수는 주말을 제외한 영업일을 계산
  • 주말뿐만 아니라,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역시 계산 가능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

 

 

 

본 블로그는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