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기상감정기사 필기 : 3과목 일기해석 (원격탐사 자료)

 정보

  • 업무명     :  3과목 일기해석 (원격탐사 자료)

  • 작성자     : 박진만

  • 작성일     : 2019-12-13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핵심이론 01] 레이더 자료 분석

  • 작성 주기 : 매 10분 간격

  • 특 성

    • 구름과 강수의 수평 분포를 분석하는 데 이용됨

    • 우리나라의 전국 레이더 관측소의 일정 고도(지상 1.5km 높이) 관측 영상의 합성(단, 100km 이상의 거리에서는 가장 낮은 관측고도의 영상)

    • 레이더 종류 : C-Band, S-Band

      • 전자파형식

        • 연속파&펄스형 레이더

      • 신호처리형식

        • 재래식&도플러형 레이더

      • 파장별 분류

        • W밴드(∼0.3cm) : 구름물리

        • K밴드(0.75∼1.11cm) : 구름물리

        • X밴드(2.50∼3.80cm) : 강수⋅강설

        • C밴드(3.80∼7.50cm) : 저기압성 강수, 국지경보

        • S밴드(7.50∼15.0cm) : 태풍, 집중호우

 

[핵심이론 02] 위성 자료 분석

  • 합성영상

    • 위성이 관측한 가시영상과 적외영상을 합성한 영상으로 구름 분포를 확인하는 데 이용됨

    • 특 성

      • 구름의 분포와 종류를 나타냄

      • 적외선영상을 푸른색으로, 가시영상을 붉은색으로 처리하여 합성

      • 상층운은 푸른색, 하층운은 붉은색, 발달한 구름은 밝은 흰색으로 표출됨

  • 강조영상

    • 적외영상에서 구름의 온도가 낮은 영역을 강조하여 표 출한 영상

    • 특 성

      • 적외영상에서 구름 상부의 온도가 영하 35℃ 이하 인 영역을 검은색으로 강조하여 나타냄

      • 가시영상을 이용할 수 없는 야간에 발달된 구름역 탐지

  • 적외영상

    • 구름의 분포와 종류 분석에 이용됨

  • 가시영상

    • 특 성

      • 관측영역을 가시선(\(0.55 \sim 0.80 \mu m\)의 파장대)으로 촬영한 영상

      • 정지위성으로부터 관측된 지상 상공의 구름 분포

  • 수증기영상

    • 특 성

      • 수증기 흡수파장인 \(6.5 \sim 7.0 \mu \mathrm{m}\) 파장대로 촬영

      • 구름역 외에 대기의 상층부(5~6km 고도) 수증기 분포를 탐지

      • 구름영상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상층저기압의 위치, 제트기류, 대기의 흐름을 분석

  • 근적외영상

    • 특 성

      • 적외영상에 잘 나타나지 않는 하층구름과 안개 탐지

      • 가시영상을 이용할 수 없는 야간에 특히 유용

  • 황사영상

    • 특 성

      • 황사탐지를 위한 적외광학두께지수

      • 적외차방식(BTD) 탐지 기능을 개선, IDDI 방식의 해양/육지, 주간/야간의 강도 불연속 개선

      • 황사의 입자가 크거나, 대기오염이 강하게 탐지되 나, 일출/일몰시 황사탐지에서 불연속 가능성

  • 안개영상

    • 특 성

      • 위성에 의한 안개역의 탐지원리는 지구표면과 구름 정상의 온도차로 나타냄

      • 주간의 경우 가시채널을 이용하여 안개를 판단하고(반사도 30% 이상), 야간의 경우 단파적외채널 (\(3.7 \mu \mathrm{m}\))과 적외채널(\(11 \mu \mathrm{m}\)) 간의 수적운에 대한 방출률 차이를 이용한 적외차 방법을 이용하여 안개 를 분석

      • 대기는 상층으로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므로, 지 구표면과 구름정상 간의 온도차가 적을수록 안개 가 능성이 높아져 5 가지 색상으로 분석된 영역이 안개 가능지역에 해당하며, 온도차가 0에 가까울수록 보 다 낮은 구름으로 안개역일 가능성이 높음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