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업무명 : 컴퓨터 그래픽스 과제물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20-07-17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개요]
-
안녕하세요? 웹 개발 및 연구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해솔입니다.
-
오늘 포스팅은 컴퓨터 그래픽스 과제물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특징]
-
컴퓨터 그래픽스 과제물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해 작성
[기능]
-
과제물 지시사항
-
과제물 작성요령
[활용자료]
-
인터넷 검색
[과제물 작성 요령]
-
과제물 작성 계획 세우기
-
과제물 작성을 위하여 계획 및 준비, 글쓰기, 제출과 같이 3 단계로 구성
-
1 단계는 우선 계획 및 준비로서 공고 확인, 제출 기간 확인, 과제물 문제를 파악
-
2단계의 경우 글쓰기로서 자료 검색 수집 및 개요 작성 그리고 본문 쓰기 및 수정
-
끝으로 제출 마감일뿐만 아니라 파일 용량 검사 및 온라인시스템 제출
-
-
과제물 문제 파악 요령
-
과제물 문제에서 교수님의 지시사항을 정확히 간파하여 작성
-
특히 제출 파일의 양식/용량 및 스타일 형식 그리고 작성 분량에 유의
-
-
나만의 글쓰기 전략
-
앞서 작성 계획에서와 같이 단계별로 수행이 필연
-
추가로 각 과제물마다 한글 또는 워드 양식에서 각자만의 스타일을 바탕으로 글의 내용 작성
-
또한 각종 인터넷 검색 및 도서를 참조하여 내용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판단의 근거에 대한 명확한 인용 및 출처가 정확하게 표시
-
-
학술 검색을 위한 유용한 방법
-
인터넷은 1950대에 컴퓨터의 개발과 더불어 너무 많은 정보의 바다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 발굴 능력 요구
-
인터넷 검색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 네이버 검색을 추천하고 익숙하면 구글 검색이 유용
-
그러나 일반적으로 네이버 또는 구글로 검색할 경우 다수의 블로그에서 중복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들은 대부분 복사 붙여넣기로 인해 남용되고 있는 실정
-
따라서 이 보다는 전 세계 검색엔진 2위를 차지한 Yahoo! JAPAN (https://www.yahoo.co.jp)에서 검색하여 구글 번역할 경우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음
-
연구 보고서 또는 SCI/SCIE 논문을 보기 위해서 대학교에서 저널을 구독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모든 저널을 구독하기에는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되기 때문에 SCI-HUB (https://sci-hub.tw/)를 통해 보는 것을 추천
-
[사용법]
-
과제물 서식을 바탕으로 작성
[사용 OS]
-
Windows 10
[사용 언어]
-
한글 2018
내용
[문제]
-
다음 두 과제를 모두 작성하라.
-
1. 기울기가 1보다 큰 선분을 그릴 수 있도록 교재 82쪽(멀티미디어 강의자료 3강 26번 슬라이드)의 알고리즘을 수정하고, 선분 (2, 1) - (5, 8)을 그리는 과정을 구하라(멀티미디어 강의자료 3강 25번 슬라이드 참고).
-
2. 홀-짝 규칙을 이용하여 다각형의 내부와 외부를 판별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라.
-
[작성]
-
소개글
-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컴퓨터그래픽스 출석수업대체과제물"에 대한 내용입니다.
-
-
목차
-
1. Bresenham 선분 알고리즘
-
2. 다각형 내/외부 판별
-
3. 참고문헌
-
-
본문내용
-
1. Bresenham 선분 알고리즘
-
Bresenham 알고리즘은 x-y 평면의 8분면 및 4분면의 대칭성을 통해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선분들을 일반화될 수 있다.
-
즉 기울기가 1보다 큰 경우 해당 도서에 기술한 예시 (0 < 기울기 < 1)에서와 같이 y = x를 기준으로 좌표 변환하면 된다 (소스 코드에서 보라색 표기).
-
그 결과 그림 1에서 각 x 좌표에 따른 y 좌표를 나타내었고 이를 해당 경우 (기울기 > 1: 주황색, 기울기 = 1: 회색, 0 < 기울기 < 1: 청색)에 대한 가시화하였다 (그림 2 참조).
-
-
2. 다각형 내/외부 판별
-
우선 다각형의 내/외부 판별의 경우 주어진 점 (x, y)의 점 포함 여부와 동일하다.
-
즉 점 (x, y)에서 시작하여 우측 수평 방향의 반직선 (half-line)입니다.
-
만약 점이 다각형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이 반직선은 다각형의 모든 변과 반드시 1회 교차한다 (그림 3 참조).
-
한편 점이 다각형의 외부에 존재하는 경우 반직선은 다각형의 변과는 전혀 교차하지 않거나 다각형의 내부를 2번 교차 통과한다. 즉 반직선 변의 교차 횟수는 0회 또는 2회가 된다 (그림 4 참조).
-
-
-
참고 자료
-
위키백과. (2020). “볼록 다각형”, https://ko.wikipedia.org/wiki/%EB%B3%BC%EB%A1%9D_%EB%8B%A4%EA%B0%81%ED%98%95.
-
티스토리. (2016). “[기하] 다각형의 내부 외부 판별”, https://bowbowbow.tistory.com/24.
-
관련 자료
[과제물 문제]
[과제물 제출본]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컴퓨터그래픽스 출석수업대체과제물 방송통신대
1. Bresenham 선분 알고리즘 ● Bresenham 알고리즘은 x-y 평면의 8분면 및 4분면의 대칭성을 통해 임의의 기울기를 갖는 선분들을 일반화될 수 있다. ● 즉 기울기가 1보다 큰 경우 해당 도서에 기술한 �
www.happycampus.com
[작업 환경]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
'자기계발 >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2020년 1학기 일선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과제물 (0) | 2020.07.17 |
---|---|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2020년 1학기 교양 컴퓨터의 이해 과제물 (0) | 2020.07.17 |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2020년 1학기 전공 컴퓨터 보안 과제물 (0) | 2020.07.17 |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2020년 1학기 전공 인터넷과 정보사회 과제물 (0) | 2020.07.17 |
[방송통신대 컴퓨터과학과] 2020년 1학기 전공 모바일 앱 프로그래밍 과제물 (0) | 2020.07.1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