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학술 논문 작성 방법

 정보

  • 업무명     : 학술 논문 작성 방법

  • 작성자     : 이상호

  • 작성일     : 2020-05-11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개요]

  • 안녕하세요? 기상 연구 및 웹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해솔입니다.

  • 오늘 포스팅은 학술 논문 작성 방법을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세부 내용

[주차별 강의 내용]

 

주차별 강의 내용

1주차

Why write a paper ?

2주차

Structure

3주차

Figures

4주차

Results + Discussion

5주차

Introduction + Abstract

6주차

References

7주차

Proofreading

8주차

Revision + Appeal

 

[1주차] Why write a paper? 

  • Modern scientific journals

     

    • 수 많은 과학 저널이 생김.

       

    • 오픈소스 저널은 누구나 공부할 수 있음.

       

    • 저널이 종류가 많기 때문에 Impact factor가 있음 (최근 2년간 피인용지수).

       

  • Review

     

    • 이 분야를 집대성한 논문  교과서의 한 챕터로 될 수 있음.

       

    • 최근에 가장 각광받은 TOP 주제임.

       

  • Articles

     

    • 본문 김.

       

  • Letters

     

    • 양이 짧음.

       

    • 예전에 편지로 전달해서 받았기 때문에

       

  • Structure of a paper

     

    • Title

       

    • Authors

       

    • Abstract (잘 요약하는 것이 중요함)

       

    • Introduction 

       

    • Results & Discussion

       

    • Conclusions (요약 형식 및 미래 기술 그리고 장단점)

       

    • Methods (여러가지 테크닉을 쓰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씀. 장비 또는 자료를 이용했는지)

       

    • Acknowledgements : $$$, thanks note (이 연구를 위해서 도움 받은 사업비 및 도움받은 자, 특허 출허한자)

       

    • References (논문을 쓰면서 과거에 썻던 기술 및 단어를 참고하는 문서)

       

    • 대부분 1저자가 했고 마지막 저자는 연구 총괄자임.

       

    • 각 저자들의 소속

       

    • 논문 제출 날짜 및 받아들이는 날짜

       

    • 주장하는 바를 그림만 보고 이해할 수 있는 논문이 중요함.

       

 

[2주차] Basic structure

  • 결론을 제일 먼저 써라.

    • 논문에서 결국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뭔지?

    •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는 연구의 핵심

    • 결론을 먼저 정하고 논문을 작성하라

    • 논문을 쓰다보면 결론이 바뀔 수 있다.

    • 내가 주장하는 바를 잊으면 않됨.  

  • 결론: 핵심어1+핵심어2+핵심어3

    • Here, we, achieve direct control of the optical near field by shaping the wavefront implinging

    • On turbid media consisting of random nanoparticles.

    • 하나의 결론은 어떻게 배치 및 어떻게 해야 중요함.

  • 결론이 나오면 제목이 정해짐.

    • Subwavelength light focusing using random nanoparticles

  • 그 다음, 논문의 구성을 짜라 결론에 가장 잘 도달하도록

    • 이 방법의 원리가 어떤 것이냐 면 …

    • 그래서 실험1을 해보았더니 결과1이 나왔는데

    • 이 결과는 이런 의미라서 중요하고 (논의1)

    • 저런 때에도 되는 지 보기 위해서 실험 2를 해보았더니

    • 결과 2가 나왔는데,

    • 이 결과가 왜 말이 되느냐면, 이전 논문에 보면/이론적으로 계산해 보면/이런 검증을 해보면 …

  • 구성은 그림으로 짜라

    • 제목과 그림만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논문이 효과적

    • 그림 1: 원리

    • 그림 2: 결과 1

    • 그림 3: 결과 2

  • 최근 논문

    • Optogenetic은 세포의 작용을 빛으로 조절하는 방법임.  빛을 어떻게 전달해줄 수 있냐?  특정 세포만 제어하고 싶다면 이전 방법, 현재 방법, 추후 나아가는 방법임.

    • 모르는 부분을 어떻게 설명할까?  독자들의 생각을 3차원으로 함.

    • 그림 2에서 사용한 방법이 무엇이냐?  여러가지 산란을 진행해보니 (원리가 잘 작동한다)

    • 그림 3은 실제도 해보니 각각의 세포 활동성이 특정 세포만 발육이 됨.

    • 그림 4는 한번만 잘되는 것이 안되냐? 장기간에 걸쳐 실험함.

[3주차] Figure

  • 논문 그림 작업도

    • Matlab, Originlab  페이지마다 그림 1, 2, 3 (PPT)

  • 그림은 Vector format으로

    • 확대를 해도 깨지지 않음. 

    • Paste special > 벡터 포맷 > ungroup (색상 굵기, 폰트 등)

  • 그림은 가능한 단순하게

    • 훨씬 더 깔끔하게 나타낼 수 있음.

    • 테두리를 바운더리를 그릴 수 있음.

    • 그림이 여러 개가 있을 경우 선택 후 Align > 수평적으로 균일하게 선택 가능함.

    • 스케일바에 맞춰서 그릴 수 있음.

  • 중요한 그림은 크게

    • 크게 그리는 것이 중요함.

  • 그림 배치 순서 : 설명하는 순서

    • 순서가 논리가 되게끔 해야됨.

  • Fully utilize PowerPoint

    • 광학 장비는 그림을 효과적으로 그릴 수 있음.

    • 이 그림은 파워포인트로 그린 것임.

    • 어려운 소프트웨어를 쓰지 않아도 됨.

  • 3D S/W 활용

    • 장비를 입체감 있게 쓰기 위해 이해를 잘 시켜줌.

    • 3D 모델링 및 랜더링 소프트웨어가 필요함.

    • 이쁜 그림을 그리기 이전에 사이언스 내용이 중요함.

  • PNAS 저널

    • 저널에서 RGB-online 또는 CMYK–print 요청 받음.

    • 그림을 비트맵을 그릴 경우 흑백 1200 dpi로 만들었을 경우 충분한 해상도임.

    • 1 column wide (20.5 picas / 3.42’’ / 8.7 cm)

    • 2 column wide (27 picas / 4.5’’ / 11.4 cm)

    • 5 column wide (42.125 picas / 7’’ / 17.8 cm)

  • PPT > TIFF 변경 (비트맵 포맷, 포토샵)

    • AI, PDF format은 AI에서 비슷하게 작업 가능 (벡터 포맷, 어도비 일러스트레이션)

    • 디자인 > 슬라이드 크기 > 사용자 지정 (100 cm, 80 cm) > 복사 

    • 포토샵 > 재단 > 이미지 크기 (해상도: 폭 및 높이 그리고 해상도 설정) > 다른 이름으로 설정 (.TIFF)

 

[4주차] Results + Discussion

  • 그림이 완성되면 결과를 써라

    • 그림의 모든 결과를 차근차근, 빠짐없이, 논리적으로 설명해야

  • 한 문단은 하나의 내용을 담아야

    • 문단 1: 핵심 아이디어는 …다

    • 문단 2: 실험적 구현을 위해 …장치를 고안

    • 문단 3: …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

    • 문단 4: 결과는 …나왔는데 이 의미는 …이다.

    • 문단 5: …라는 질문이 있을 수 있어서 …실험

    • 문단 6: 결과는 …인데 이 의미는 …이다

    • 문단 7: …에도 적용되는지 보려고 …실험

  • 문단은 항상 두괄식으로!

    • 핵심 문장 > 설명 1, 설명 2 (구체성 올라가고 중요도는 떨어져야 함)

  • 문단 내 논리 흐름

    • control 실험, 다른 방식 측정 결과 검증, 이론/Numerical 결과로 정당화, 기존 문헌

    • 논문 conclusion과 연계, indicate/show/present, suggest/imply

    • ---하기 위해서 –을 해보았다 (객관적임)

    • We ---- (객관성이 떨어짐)

    • 이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함.  구체적으로 통계 수치를 나타냄. 조금 더 쓰자면 94.8이 맞는 값이야? 다른 기계로 잰 경우 이러한 수치가 나왔다.  논리적 비약 없이 쓰는 것이 필요함.

    • [핵심문장] XX하기 위해 YY 했다.

    • [결과 1] AA 결과가 나왔다.

    • [결과 분석] 자세히 보기 위해 분석 방법 BB를 쓰겠다.

    • [결과 부연 설명 1] 구체적으로 수치는 CC 나옴.

    • [결과 부연 설명 2]

    • 결과 잘 나왔다. (기존 논문)

  • 문단 간 논리적 연결

    • 중요한/단순한/예상되는 결과 > 부차적인/심화된/예상 어려운 결과

    • 논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 further

    • 심화된 애기를 하기 위해 The Question then arises: (대체 왜 이런일이 발생될까?)

  • 논의: 결과 > 결론 논리 흐름

    • 결과 A + 논의 A

    • 결과 B + 논의 B

    • 결과 C + 논의 C

    • 결과 A

    • 결과 B

    • 결과 C

    • 논의 X

    • 논의 Y

    • 논의 Z

  • 글은 현재형으로 쓸 것

    • 더 생동감 있게 읽힘

    • 과거형: 논문 앞쪽에서 한 실험 등 언급할 때

    • 과거완료: 기존 연구

  • 논의에서 다룰 내용

    • 이 연구가 왜 중요한 건지?

    • 새로 알게 된 것이 무엇인지?

    • 이 결과가 어떤 의미인지?

    • 앞으로는 뭐가 가능해 진다는 것인지?

    •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지? (솔직하고 정확하게 써야 됨)

  • 장점 강조는 구체적으로

    • 탐지 방법은 A와 B로 장점으로 좋아졌음.  자세하게 1-3에 대한 장점이 있음.

  • 단점, 한계점도 명시해야

    • Reviewer가 공격할 약점을 미리 언급하고,

    • 대안/보충 설명으로 보완

    • 장점을 쓰고 단점 그리고 대안/보충 설명으로 보완 설명이 필요함.

  • 뭐가 새로운 지 강조

    • 비슷해 보일 수 있는 기존 연구와 차이

    • 이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차이점을 효과적으로 작성해야 됨.

    • 기존 우리 연구에 비해 significant advance가 있다 강조

    • 이 연구는 우리 연구에서 이런 연구 및 저런 연구에 이용하였으나 기존 연구는 구체적으로 뭐가 다를 수 있다.  

  • 전망

    • 연구가 꼬리에 꼬리 물기 때문에 그 다음에 연구에 대해 언급해야 할 필요함. 

    • 우리가 만든 것이 어디서 활용될 수 있으며 미래에는 무엇을 할 수 있겠다.

  • TIPS

    • 쉬운 단어로 쉽게 설명하라

    • 내가 아무리 쉽게 써도 상대방은 100% 이해 못함.  하지만 결과에 대한 해석과 논의는 깊고 치밀하게

    • 독자의 입장에서 고민하라

    •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아닌 듣고 싶은 말 (궁금해 할)을 써라

    • 독자가 어디까지 알고 있을지, 어디까지 이해 했을지

    • 비중과 위치로 중요한 부분을 강조

    • 마지막에 고민했던 사소한 점들을 너무 장황하게 쓰지 마라

    • 모든 결과를 논문에 다 넣을 필요 없다

    • 얼마나 고생했는지 논문에 표현하려 하지 마라

[5주차] Introduction + Abstract

  • 서론은 논문의 예고편

    • WHAT?  어떤 주제에 대해 연구해 봤는데,

    • WHY?   이 연구가 중요하냐면, (지금까지는 어디까지 알려졌는데)

    • HOW?   그래서 우리는 어떤 실험을 해 보았다.

  • 1. WHAT & WHY

    • [WHAT]은 강렬하고 짧은 1-2문장으로 쓰는 것 추천

    • 예) KAIST와 관련된 미스터리 중에 하나는 교내에서 서식중인 오리들이 왜 도로를 건너는가 이다.

    • [WHY]에서는 앞의 WHAT 문장을 자연히 이어받아 

    • 구체적으로 자세히 풀어 써주면서 왜 이 주제가 흥미로운지 논리적으로 확장한다.

    • 예) 매일 아침 9시경 오리들은 동측으로 길을 건너고 오후 4시경 오리들은 서측으로 길을 건너는 것을 반복한다.

    • 이 연구의 의의가 중요한 의미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도 좋은 방법

    • 예) 이 주제는 오리들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조류들의 생태습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교통 안전과도 연관되어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 남들은 모르는/안 해 본 연구라는 것은 강력한 WHY가 될 수 있다.

    • 예) 하지만 연못으로 수영해서 갈 수 있는데 왜 굳이 위험한 도로를 건너는지는 전혀 알려진바가 없다.

  • 2. PREVIOUS WORK

    • 첫 문단에서 WHAT&WHY로 독자의 흥미를 이끈 후

    • 다음 문단에서 지금까지 알려진/연구된 소개

    • 지식 전달의 부분이나 단순한 사실의 나열보다는 이 연구가 왜 중요한지 계속 부각시키는 것에 집중

    • 예) KAIST 오리들이 수영으로 동/서측을 이동하는 주기성은 연구된 바 있으나 도로를 이동하는 주기성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전혀 시도된 바가 없다.

    • 이 연구가 최초라는 것을 강조할 때

    • This is the first experimental study … 등의 확신적인 표현보다는 No experimental study has been reported to our best knowledge … 등의 완곡한 표현 추천

    • 기존 연구를 언급할 때 중요한 것 (직접 관련된 내용)부터 이야기하고 덜 중요한 것 간접 관련된 내용)은 나중에 언급

    • 예) KAIST 오리의 예, 서울대 오리의 예, … 미국 대학 오리의 예, … KAIST 고양이의 예

    • 기존 연구를 시간 순으로 언급할 때

    • 예) Recently, …, More recently, … 하지만 수 많은 시도에도 불구하고 KAIST 오리들이 왜 도로를 건너는지 still remained unanswered.

    • 기존 연구들을 언급한 뒤 다시 한번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도 좋은 방법

    • 예)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는 이유를 밝혀낸다면 오리들의 하루 일과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내 교통 안전 시스템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3. HOW

    • 문단을 바꾸어서 바로 논문의 핵심 방법론 기술

    • 예) Here, we present an experimental study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는 패턴과 이유, using GPS-equipped drones.

    • 그 다음 문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실험 방법/내용들을 소개

    • 예) 6개월 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걸쳐 KAIST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는 패턴을 GPS가 장착된 드론들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예) 이를 통해 오리들의 도로 횡단은 주변 산책로에서 서식하는 고양이들의 행동 양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 예) 고양이들이 오리 연못 근처로 이동하는 오전 9:30 +- 15시 경에 오리들은 동측으로 횡단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고양이들이 산으로 올라가는 오후 4:30 +- 15시 경 다시 서측으로 횡단하는 것을 확인했다.

    • 예) 고양이들이 강제로 이주시킨 한 달간 오리들은 이러한 횡단 패턴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연못을 수영하지 않고 위험한 도로를 건너는 것은 위협을 느낀 상태에서 오리의 뇌에서 분비되는 Kaitronin 호르몬의 분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3개 문단으로 구성되는 서론으로 구성됨.

  • Abstract

    • Abstrct는 intro를 한번 더 요약

    • Copy-and-paste는 금물

    • 간략히 WHAT+(WHY)+HOW 또는, HOW만

    • Abstract는 그 자체로써 독립된 글이 되어야 함

    • c.f) 약어를 초록에서 쓰는 경우

    • 예) We investigate 오리들이 도로를 건너는 패턴 and found 이유, using GPS-equipped drones, 오리들의 도로 횡단은 주변 산책로에서 서식하는 고양이들의 행동 양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오리들의 도로 횡단 행동양식은 고양이들의 계획된 집단 이주를 통해 더 확실히 규명되었으며 위협을 느낄 때 발현되는 Kaitronin 호르몬과의 관련성도 연구했다.

[6주차] References

  • LITERATURE SEARCH: WHY

    • 왜 논문 조사를 해야 하는가?

    • NOVELTY : 기존 이론, 실험 결과 등을 파악해야 함

    • METHODS : 내가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 파악

    • COMPARISION : 내 결과가 타당한지 비교 검토

  • LITERATURE SEARCH: HOW

    • THINKING > SEARCH QUESTION > SEARCH PLAN > RESEARCH RESULTS > REVIEW

    • 인용은 10, 50, 100개 순으로 파악할 수 있음.

  • Impact factor

    • 영향력 있는 저널을 알려줌.

  • Google scholar profile

    • 연구자에 대한 논문을 요약해줌.

  • h-index

  • Review journals

    • 한 분야에 대해 Review 저널이 있음.

  • BIBLIOGRAPHY MANAGEMENT S/W

    • 학교에서 ENDNOTE를 이용함.

  • ENDNOTE

    • 인용하고자 싶은 논문을 이용함.

    • 자동으로 저장됨.

    • 저널마다 참고문헌 양식이 달라서 오랜 시간이 걸림.

[7주차] Proofreading

  • 가능한 많은 사람들에게 보여주라

    • 수정 과정에서 논문 구성을 바꾸는 것을 두려워 하지 마라

    • 가능한 쉽게, 쉬운 단어로 써서 잘 읽히게 써라

  • CHK LIST: FIGURES

    • Scale bar, Color bar & Units

    • 그림 속 약어들 모두 표현되었는지

    • 그림 속 결과들 모두 본문에 있는지

    • 본문에서 그림 호출 (Fig. 1) 다음에 그림이 배치 되었는지

    • 문장 시작할 때는 Fig. 라는 축약표기 대신 Figure 라고 다 풀어쓰길

    • 그림에서 subfigure가 (a)로 표기면 본문에서도 Fig. 1(a)로 똑같이 쓰기

    • “Fig. 1 and 2 show” (x)  “Figs. 1 and 2 show” 

  • CHK LIST: RESULTS

    • 결과로 확신할 수 있는 주장인지? 다른 가능성들은 없는지?

    • 쉽게 설명이 되었는지?

    • 논리적인 비약은 없는지?

  • CHK LIST: TEXT

    • 약어: 처음 사용시 정의하고, 그 이후는 통일성 있게 쓰기. Ctrl + F 활용

    • 약어: 3번 이상 사용하는 경우만 약어 사용

    • 약어: 초록과 본문은 별개의 문서 = 초록에서 약어 정의했어도 본문에서 사용한다면 다시 정의해야 함

    • 숫자 + 단위 사이에는 항상 space: 예외> 10% 및 10도

    • You should not start a sentence with a symbol.

  • CHK LIST: TEXT

    • Hyphenation: Please note hyphens may have been inserted in word pairs that function as adjectives when they occur before a noun, as in “x-ray diffraction,” “4-mm-long gas cell,” and “R-matrix theory.” However, hyphens are deleted from word pairs when are note used as adjectives before nouns, as in “emission by x rays,” “was 4 mm in length,” and “the R matrix is tested.”

  • CHK LIST: Refs. Etc.

    • 중복 사용된 참고문헌은 없는지

    • Issue #, Page #, Yr 등 확인: Endnote가 완벽하진 않다.

    • Be professional

    • 3 um x 1 um > 3 µm ×0.1 µm

    • Never use ambiguous expressions!

    • measured a lot of holograms > measured 600 holograms

    • has an enough power > has a strong power (50 mW)

    • measured ~ 10 cells > measured 13 cells

  • ENGLISH USAGE

    • 단어 뜻 제대로 알고 사용

    • Different 다른 | Various 다양한

    • Concerns 걱정 | drawbacks 단점

    • COUNTABLE / UNCOUNTABLE

    • 셀 수 있는 명사 및 셀 수 없는 명사

  • ENGLISH USAGE: 전치사

    • By는 좋은 표현 아님: 구체적으로 using or via로 바꿀 것

    • Common mistakes

    • In fourier space

    • Study on human hairs

    • Findings on human hairs

    • Most bacterial spices

    • Most bacterial spices 

    • 4 to 10 times

    • 1.39-1.4 

    • In partibular, 

  • Stronger expressions

    • Mainly > preimary

    • Is shown > in presented

    •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 Since (이유) > because (이유)

    • Because of > due to, resulting from, as a result of (formal)

    • Allows us to investigate > Enables the investigation

    • Study > Investigate

    • Play a central role (informal) > has a central function (formal)

    • serious limitation > significant limitation

    • enough > sufficient

    • is performed > is conducted

    • to check > to verify

    • technical point of view > technical perspective

[8주차] Revision + Appeal

  • Authorship

    • 지도교수의 고유한 권한

  • COVER LETTER

    • WHAT + WHY: 뭘 해는데, 이게 왜 중요하다

    • WHAT: 너희 저널의 scope에 맞는다.

    • WHY: (신속히) 출판할 가치가 있다.

    • Reviewer suggestion: 심사위원 추천

  • Editor는 다음 기준으로 Reviewer 선정

    • 그 분야 전문가를 섭외

    • 참고문헌에서 갈 경우

  • FIRST DECISION

    • ACCEPT (AS IT IS)

    • ACCEPT (WITH MINOR REVISION)

    • REVISION (MINOR)

    • REVISION (MAJOR)

    • REJECT

  • REBUTTAL LETTER

    • 성실하고 겸손하게 답변할 것

    • 결론 문장부터 쓰고 자세히 풀어 쓸 것

    • REBUTTAL LETTER는 자세히, 본문 수정은 최소화

    • 하라고 한 것은 반드시 할 것

    • REF SUGGESTION: 반드시 할 것

    • 다른 리뷰어의 커멘트를 활용하여 답변할 것

    • 기존 연구 결과 언급하면서 답변하면 설득이 쉬움

 

 참고 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문의사항

[기상학/프로그래밍 언어]

  • sangho.lee.1990@gmail.com

[해양학/천문학/빅데이터]

  • saimang0804@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