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업무명 : 기상기사 자격증 소개
-
작성자 : 박진만
-
작성일 : 2019-12-11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핵심이론 01] 기온 및 안개
-
전선무 : 온난전선이 오기 직전 또는 한랭전선이 지나간 직후 얇고 찬 대기층에서 발달하는 안개
-
활승무 : 습한 공기가 산 또는 언덕을 따라 이동할 때 형성 되는 안개
-
이류무 : 온난습윤한 공기가 충분히 차가운 지표 상공을 이동할 때 공기가 포화점까지 냉각하여 형성되는 안개
-
복사무 : 지표의 복사냉각으로 형성되는 안개
[핵심이론 02] 뇌우 및 바람
-
뇌 우 : 중간규모에 속하는 기상현상으로서 쇼월터안정도 지수(Showalter Stability Index)를 이용하여 예보한다.
-
해륙풍 : 육지와 해양의 비열 차이에 의해 부는 바람이다.
-
낮에 육지가 수면보다 더 빨리 가열되고 육지 상공의 공기도 가열되어 저기압역을 형성한다. 수면 위의 공 기는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아 고기압역을 형성하여 바 람이 바다에서 육지로 부는데 이를 해풍이라고 한다.
-
반대로 밤에는 육지가 수면보다 더 빨리 냉각하여 수면 위보다 육지 위의 기온이 더 낮아져 고기압역이 형성되고 수면 위는 저기압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밤에는 육지에 서 바다로 바람이 부는데, 이 바람을 육풍이라고 한다.
-
[핵심이론 03] 고기압 및 저기압
-
고기압 북반구의 경우 바람이 시계방향으로 중심부에서부터 밖 으로 불어나간다. 고기압의 중심에는 하강기류가 있어 구 름이 잘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고기압 지역은 하늘이 개고 날씨가 좋다.
-
오호츠크해 고기압 : 오호츠크해 부근에서 나타나는 고기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장마가 길어지면 동해안 지방에서 냉해가 심하게 나타나고 서해안 지방에서는 높새현상으로 인한 고온건조한 상태가 나타난다.
-
북태평양 고기압 : 북태평양 중위도 부근에 중심을 두고 있고 고온다습한 해양성 고기압을 말한다. 겨울 에는 남하하나 여름에는 북상하여 세력이 강해지는 데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 장마가 끝난 뒤 영향을 받는다.
-
시베리아 고기압 : 추운 겨울철 시베리아 지역의 공기 가 냉각하여 발생한 대륙성 고기압으로 한랭한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겨울철 날씨를 지배한다.
-
-
저기압 북반구의 경우 바람이 반시계방향으로 중심부를 향해 불어 들어온다. 저기압 중심에는 상승기류가 있어 구름 이 만들어지기 쉽기 때문에 비가 내리거나 날씨가 좋지 않다.
-
온대저기압 : 중위도나 고위도에서 발생한 저기압을 말하며 전선을 동반하는 것이 많다. 온대저기압은 중 위도 편서풍대에서 관측되는 파동인 편서풍파동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편서풍파동에서 골의 오른쪽 상공에 발산이 존재하여 지상저기압이 발생하기도 한다.
-
열대저기압 : 열대지역에서 발생한 저기압으로 태풍을 의미한다(열대저기압(태풍)에 대한 설명은 핵심이론 _04참조).
-
[핵심이론 04] 태풍
-
태풍의 정의
-
중심최대풍속이 33 m/s 이상인 폭풍우를 동반하는 열대 저기압을 말한다.
-
-
태풍의 발생
-
태풍은 바람이 약하고 습도가 높으며 해수면 온도가 26.5°C 이상 되는 지역에서 발생한다. 적도와 극지역의 열적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현상으로 주로 저위도 지역 의 온난습윤한 공기가 바다로부터 수증기를 공급받아 생 성된다. 또한 전향력이 인 적도에서는 지상풍의 수렴이 어려워 태풍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에 지상풍이 열대수렴대 (ITCZ)를 따라 수렴하기 때문에 열대수렴대가 형성된 곳을 중심으로 하여 태풍이 생성되기도 한다.
-
-
태풍의 구조
-
태풍은 북반구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중심으로 갈수록 기온은 상승하고 풍속은 약해지며 구름은 나선형 으로 태풍 눈 주위를 감싸고 있다. 태풍의 등압선은 원형 에 가까우며 중심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조밀하고 좌측반 원보다 우측반원의 간격이 조밀하다.
-
참고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블로그에 대한 궁금하신 점을 문의하시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E. sangho.lee.1990@gmail.com & saimang0804@gmail.com
'자기계발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기상감정기사 필기 : 2과목 기상관측법 (측기 및 관측) (0) | 2019.12.12 |
---|---|
[자격증] 기상감정기사 필기 : 2과목 기상관측법 (관측총론) (2) | 2019.12.12 |
[자격증] 기상기사 필기 : 5 과목 일기분석 및 예보론 (기상분석) (0) | 2019.12.11 |
[자격증] 기상기사 필기 : 4 과목 기후학 (기후변동 및 변화) (0) | 2019.12.11 |
[자격증] 기상기사 필기 : 4 과목 기후학 (물리기후학) (0) | 2019.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