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 업무명     : 기상기사 자격증 소개

    • 작성자     : 박진만

    • 작성일     : 2019-12-11

    • 설   명      :

    • 수정이력 :

     

     내용

    [핵심이론 01]  고기후

    [핵심이론 02]  근세 기후

    • 11세기~14세기

      • 오늘날보다 추웠지만 대체로 온난한 시기에 해당

    • 10세기 중반~13세기 중반

      • 소기후적 최적기 혹은 중세 온난기라고 부를 만큼 기온이 상승함

    • 15세기~19세기

      • 북반구에서는 한랭화 단계로 들어서면서, 다시 빙하기가 확대되기 시작했으며 겨울이 길어지고 여름은 짧아짐

    • 16세기 중반~17세기 중반, 18세기초반, 19세기

      • 비교적 기온이 낮았던 시기로 전국적으로 기근이 많이 발생

    [핵심이론 03]  최근 기후

    • 기상관측이 이루어진 지난 100여 년 동안에 전구 연평균 기온이 0.6±0.2 상승

    • 대부분의 기후학자들은 오늘날 온난화 현상의 대부분이 이산화탄소나 메탄 등과 같은 온실기체의 증가에 의해 강 화된 온실효과 때문이라고 여기고 있음

    • 개발도상국과 같은 곳에서의 도시화 경향은 도시의 열섬 효과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기온상승을 강화시킬 수도 있음

    • 기후변화의 원인

      • 자연적인 요인 : 태양과 지구의 관계 변화, 태양활동의 변화, 화산활동의 영향, 해양 순환의 변동 등

      • 인간활동에 의한 요인 : 사막화, 삼림파괴 등으로 인한 지표면 상태의 변화와 온실기체 농도의 변화 등

    [핵심이론 04]  기후변화 예측

    • 오늘날의 기후모델은 온실기체 증가에 따라서 2100년에는 1990년보다 1.8~4.0°C 기온이 더 상승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여기서 가장 낮은 예측 값인 1.8°C만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지난 100여 년 동안 상승한 것의 세 배에 이른다. 기온이 최대값인 4.0°C 상승한다면 지구 전체를 황폐화시킬 수 있는 정도이다. 21세기의 온난화는 우리가 20세기에 경험한 것이나 과거 10,000년 동안 어떤 경우의 온난화보다도 훨씬 강할 것이다. 그러나 기후변화에는 몇 가지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 우선 이산화탄소 농도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인가 하는 것이 불확실하다. 현재 해양과 육지의 식물이 인류가 방출하 는 이산화탄소의 절반 정도를 흡수하면서 해양의 기후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해양이 이산화 탄소 농도 증가와 온난화에 미치는 효과는 불명확하다.

     참고문헌

    [논문]

    • 없음

    [보고서]

    • 없음

    [URL]

    • 없음

     

    블로그에 대한 궁금하신 점을 문의하시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E. ​sangho.lee.1990@gmail.com & ​saimang0804@gmail.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